전력산업의 한 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여겨지며, 국내 대기업은 물론 외국계 기업까지 국내 전력산업에 참여하기 위해 쉼없이 노크했다. 특히 2010년 이후 4~5년간 전력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발전사업을 하고 있던 민간 대기업은 큰 돈을 벌었다. 1년 영업이익으로 전체 투자비를 뽑을 정도로 많은 수익을 거두면서 당시 국회에선 대기업의 수익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많은 수익이 눈에 잡히다 보니 이후 대기업들은 앞다퉈 발전사업에 뛰어들었고, 6차전력수급계획을 수립할 때는 1000만kW 이상의 석탄 발전허가를 따내 장밋빛 기대를 이어갔지만, 상황이 역전돼 이제는 남는 전기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에 빠졌다. 역시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던 대기업들도 딜레마에 빠졌고, 결국 하나둘씩 사업을 포기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최근 사업이 좌초된 경남 통영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도 지난 2013년 2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사업권을 얻어 사업을 진행하다 이번에 좌초됐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번 사업 사례를 시작으로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연쇄적으로 사업을 포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포스코 에너지가 대주주인 포스파워의 삼척화력 1·2호기는 오는 6월 30일까지 실시계획 인가를 위한 사전 절차를 모두 완료하지 못하면 사업권이 전격 취소된다.

2012~2013년 전력예비율이 5% 미만까지 떨어져 전력위기를 겪었을 때 당시도 3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됐던 민간 발전기들이 민원, 자금 조달 어려움 등의 이유로 발전기를 제때 가동하지 못해서 수급 위기를 겪었다. 현재 전력 예비율이 20%, 2000만kW 까지 남는 여유있는 상황에서 당초 계획했던 발전사업이 좌초하고, 석탄・원자력의 가동을 중단해도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수급 위기는 예고 없이 찾아올 수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대규모의 정전은 수급 불균형 때문이 아니라 사소한 방심에서부터 시작됐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