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포함 채용 늘리는 방안 고심
정부의 공공기관 정원 통제로 고용 창출 한계 존재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한전과 전력그룹사도 일자리 창출과 좋은 일자리 전환에 적극 부응해 나갈 계획이다.

한전과 전력그룹사는 지난 19일 열린 사장단 회의에서 ‘전력그룹사 좋은 일자리협의회’를 운영하고, 추진 상황과 이행 실적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력그룹사는 회사별로 관련 TF를 꾸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고민하고, 신규 채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어떻게 되나= 현재 한전의 경우 직접 고용인원 중 비정규직이 600명 가량된다. 하지만 배전점검, AMI설치 등 간접 고용인원까지 모두 더하면 비정규직 인원이 7700명으로 늘어난다.

발전사들도 직접 고용형태의 비정규직은 대부분 20~30명 정도에 불과하지만, 파견, 용역, 사내하도급 등 간접고용 인원까지 포함하면 한 회사당 800~1000명 정도 된다.

전력그룹사뿐만 아니라 국내 공공기관 전체의 비정규직 현황을 보면 기간제 등 직접고용 비정규직은 20만명으로 10%에 미치지 못하지만, 사내하도급 등 간접고용 비정규직 66만명을 포함하면 비중이 크게 높아진다.

인천공항공사의 예를 볼 때 정부 방침은 간접고용까지 정규직으로 전환하라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비정규직에 대한 입장이 달라 이해관계에 따라서는 충돌의 여지가 크다. 비정규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내 하도급의 경우 원도급 입장에서는 하도급 업체를 통해 고용한 간접고용 비정규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도급 업체 입장에서는 직접 고용한 정규직이 될 수도 있어 어느 선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인지가 문제다.

때문에 우선적으로는 운전사 등 파견직 근로자에 한해 정규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의 정원 통제 하에서는 한계 존재= 민간 기업들의 경우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빠르게 비정규직 해소에 나서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르면 내달 중 72개 외주 협력업체 비정규직 직원 25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SK브로드밴드가 하청 대리점 직원을 정규직으로 고용하기로 한 데 이어 LG유플러스도 협력업체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하면서 통신업계의 오랜 논란거리였던 비정규직 고용 환경이 본격적인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경우 정부가 정원을 통제하고 있다 보니 협력업체 직원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나 신규 인력 채용을 늘리는데 어려움이 크다.

때문에 용역이나 사내하도급 등 간접고용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보다는 협력업체와 계약시 고용보장 등을 계약 내용에 포함토록 할 계획이다.

발전사들의 경우 신규 채용을 늘리기 위해 초과근무수당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교대근무 4조3교대 방식을 5조3교대로 전환해 일자리를 늘린다는 방침이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지금처럼 정부가 공공기관의 정원을 관리하는 상황에서는 일자리를 늘리는데 어려움이 크다”며 “총인건비 내에서 자율적으로 정원을 관리토록 하면 일자리를 보다 늘릴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