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의 기쁨도 잠시, 민족분쟁과 정치혼란의 역경 속에서 1950년대 세계 최고의 빈곤국 중 하나였다.

경제를 발전시키려고 해도 부존자원이 없었고, 아무리 기술이 많아도 공장을 가동할 전기도 모자랐다. 서민들 또한 무더운 여름을 부채 하나로 견뎌야 했다.

빈곤의 악순환에서 탈피하고자 제시된 대안 중 풍부하고 끊임없는 전력공급에 관심을 가진 초대 대통령의 결정으로 원자력발전의 도입을 결정했고 국내 최초로 1970년 고리 1호기 착공을 시작으로 경제개발계획에 맞게 순차적으로 원전을 지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으로 경제 발전의 활력을 불어넣는데 성공했다.

통계자료를 보면, 1964년 농촌 전기 공급량이 가구당 평균 고작 12% 수준이었으나, 1978년 고리 1호기 준공 및 상업운전개시로 전국 방방곡곡 불을 밝히고, 전력가뭄에서 완전히 해갈되었다. 고리 2호기 준공 즈음 1983년에는 소비자 물가가 156%나 올랐지만, 값싼 연료비용으로 대용량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 덕분에 전기요금은 고작 3% 상승에 그쳐 서민 생계에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국민정부시절 약 97%에 달하는 해외자원 수입국으로서 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문제는 물론 급변하는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에 따라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 등 신규원전 건설계획을 추진했다.

참여정부 출범후 고유가 및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대비해 효율적인 원전 운영을 위해 세계 원전운영 방식을 검토하여 2007년 고리 1호기 계속운전을 성사시켰다.

또 정부의 숙원과제인 중저준위폐기물처분장을 주민 투표를 통해 부지 확보했고, 지역주민 요구에 따라 한수원 본사 이전을 성사시켰다.

지난 1998년 울진 3호기 준공 기념식에서 한국형 원전의 우수한 성능을 국내외에 입증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원전기술 자립을 토대로 한국표준형 원전을 해외시장에 내다 파는 일에도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축사가 실제로 이곳 UAE원전 수주로 실현됐다.

또 원유 매장량 세계 6위의 자원부국인 UAE는 지도자의 결단 속에 원전 4개호기를 짓기로 결정하고 향후 UAE 전체 전력공급량의 25% 비중을 감당토록 했다.

과거 역대 국가 지도자의 고민과 결단이 없었더라면 현재의 대한민국을 이뤄내지 못했을 것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제19대 국가 지도자도 원자력을 미래 후손에 대대로 물려줄수 있도록 국민의 올바른 이해증진에 힘써 주시길 바란다.

또 현재 섭씨 45도를 육박하는 이곳 UAE현장에서 땀흘려 국위선양에 힘쓰는 각 회사 임직원들과 자부심을 느끼는 우리 교민들과 함께 새로운 대한민국 만들어 갈수 있도록 국내 원전 안전 운영 및 국내외 원전건설 추진에도 힘써주시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