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오는 2022년까지 독일을 제치고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세계경제의 부진 속에서도 고도성장을 지속해온 인도 경제는 과거 식민 종주국이었던 영국을 세계 5대 경제대국의 반열 밖으로 밀어내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 경제가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9.9%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이어가면서 2022년에는 독일과 영국을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IMF는 그러나 인도의 세계 5대 경제대국 부상은 세제의 전반적 개혁과 부실자산 정리, 생산성 개선 등의 어려운 과제들을 먼저 해결해야 가능한 일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또 실질적인 일자리 확대, 기업투자 장려, 부족한 인프라 확충 등도 인도가 세계 5대 경제대국 반열에 오르기 위한 선결과제로 꼽았다.

인도 경제는 요즘 화폐개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11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검은돈 적발과 부패 추방, 디지털 결제 활성화 등을 위해 전격적인 화폐개혁 카드를 꺼내들었다. 인도 유통 화폐의 86%를 차지하던 고액권 지폐(500루피와 1000루피)를 폐지하는 충격요법을 사용한 것이다. 경제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처였다.

하지만 인도 경제가 단기적으로는 혼란에 빠질 수 있는 위험요소도 내재돼 있다. 더군다나 인도 정부는 오는 7월부터 전국적으로 부가가치세를 도입한다. 이제까지는 주마다 서로 다른 세제를 운영해 왔지만 오는 7월부터는 전국적으로 단일한 부가가치세를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당초 부가가치세는 이번 달부터 시행하려 했으나 부작용을 우려해 3개월 간 연기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취약한 인도의 금융시스템과 공공재정이 부가가치세 도입을 감당해 낼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인도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의 부실대출 비율은 16.6%에 달하고 있다. 인도의 채권은 이미 ‘정크’ 수준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취약한 상황에서 세제를 변경할 경우 금융시스템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는 것.

최근 인도 은행들은 부실 채권을 정리하는 데 급급한 실정이다. 대출증가율은 사상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투자 촉진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려는 모디 총리의 계획이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인도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10년 10%에서 지난해 4.8%로 떨어졌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올해 인도 근로자의 1인당 생산량은 3962달러(약 450만 원)에 그칠 전망이다. 현재 독일인의 1인당 생산량은 8만3385달러에 이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