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어도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는 없다.

조기대선 국면에서 눈여겨 볼 정책 중 하나가 4차 산업혁명이다. 유력 후보들은 우리나라 산업의 틀을 바꿔 새로운 대한민국을 디자인 하겠다는 거창한 산업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덩달아 정부 부처는 물론 산업계도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면 관련 산업을 선점할 수 있을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다.

산업계에서 만난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이미 산업의 많은 분야에서 ict 기술이 접목되면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곧 새로운 산업의 등장으로 보면 된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산업의 변화에 대해 일자리 축소라는 반대 급부가 부상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설계하는 혁신가들은 큰 부를 축적할 수 있지만 저임금 근로자의 설자리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경고는 여러 곳에서 들린다.

실제로 국제노동기구(ILO)는 2016년 7월 수작업을 대신하는 로봇의 확산으로 앞으로 20년간 아시아 근로자 1억 3700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지난 2015년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선 4차 산업혁명으로 2020년까지 선진국에서 일자리 710만개가 사라질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변화는 독일 아디다스사를 통해 경험할 수 있다. 아디다스는 1993년 고임금 때문에 독일에 있는 모든 공장을 폐쇄하고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로 공장을 이전했다. 하지만 지난해 독일 안스바흐 공장을 ‘스피드 팩토리’ 공장으로 설계해 본격적인 신발 생산에 들어갔다.

연간 50만 켤레의 신발을 만들 수 있지만 공장인력은 10명에 불과했다. 일반 공장 같았으면 600명 정도가 필요했지만, 모든 공정이 자동화 되면서 거의 사람이 필요 없어진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컬러, 사이즈, 심지어 신발 끈의 색상까지 100% 주문을 받아 생산하지만, 총 시간은 5시간 밖에 안 걸린다고 한다.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없어지는 시대의 도래를 예고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란 막연한 기대에 대한 우려와 함께 시대의 변화를 거스를 수 없는 현실에서 현명한 답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