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어려워질수록 물가상승률이 높아져 저소득층은 가계 부담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선이 눈앞에 다가온 만큼 대선 주자들은 가계의 소비 여력과 실질소득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저소득층 중심의 소득개선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비교 결과 2003년 이후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년간 연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2%였고 소득 1분위(하위 20%)와 소득 5분위(상위 20%)의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각각 2.26%, 2.22%로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경기 국면별로 비교할땐 경기하강기 소득 1분위의 물가상승률이 소득 5분위보다 소폭 높았다. 1분위의 물가상승률은 연율 기준으로 2.71%를 나타내 5분위(2.54%)보다 0.17%포인트 높았다.

1분위의 경우 경기변동에 따른 변동폭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하강기와 상승기 간 평균 상승률 격차는 0.54%포인트로 5분위(0.32%)보다 0.2%포인트 이상 크게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유동성 제약과 경기 하강에 따른 충격 여파가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는 만큼 소비활동은 더욱 위축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지표로 따져봤을 때 현재 경제 정책으로는 저소득층의 가계 붕괴를 막을 수 없다. 구입빈도가 높은 필수재의 가격안정을 위해서라도 공급물량을 일부 확보하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상변화에 따른 농축수산물의 공급량 감소를 수입 확대로 보완하는 것도 한 방식이 될 수 있다.

다만 체감물가 상승을 근거로 일부 품목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통제하는 정책은 오히려 경제 전체의 자원배분을 왜곡할 수 있어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