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발전 미래 밝지만 당장 경영난에 허덕여
에스파워 남동발전에 매각 추진...통영LNG발전사업은 좌초 위기

GS파워 안양 열병합발전소.
GS파워 안양 열병합발전소.

최근 국회에서 환경급전의 근거가 되는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통과된데 이어 주요 대선 주자들이 탈원전 공약을 내걸면서 가스발전의 전망은 밝은 편이지만, 현재 가스발전소를 운영 중인 민간발전사(IPP)들의 표정은 점점 더 어두워지고 있다.

높은 전력예비율 탓에 가동률은 갈수록 떨어지고, 용량요금(CP)과 전력시장가격(SMP)도 지난해보다는 높아졌지만 여전히 최소마진을 회수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경영악화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력수요는 제자리인데 기저발전은 계속 유입

3월 28일 기준 1억949만kW인 국내 발전설비용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동서발전 당진9호기와 GS동해전력 북평화력 1호기 등 석탄발전소 2기가 준공했고, 대우건설 포천천연가스발전소와 SK E&S 파주문산복합발전소 1·2호기 등 가스복합발전소도 연달아 준공했다.

여기에 원자력발전소인 신고리 4호기와 석탄발전소인 태안화력 10호기, 북평화력 2호기, 삼척그린파워 2호기, 신보령1·2호기, 가스복합발전소인 GS당진복합 4호기, 영남복합 등이 연이어 준공을 앞두고 있어 전력예비율이 40%를 넘어설 분위기다.

현행 전력시장제도는 경제급전 원칙(가격이 싼 발전원부터 가동을 시작)의 변동비반영시장(CBP)이어서 전력예비율이 높아질수록 첨두부하인 가스발전소의 이용률과 전력시장가격(SMP)는 낮아지는 구조다.

◆환경급전 전력시장제도에 반영 불확실…당장엔 CP, SMP 정상화가 시급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 문제가 사회 이슈로 부각되고, 지난해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정부와 국회는 법 개정을 통해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과 전력시장 제도 운영시 경제성뿐만 아니라 환경과 국민안전도 종합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하지만 전력시장제도에 환경급전 내용이 언제, 어떻게 담길 것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또 환경급전이 제도에 반영된다고 해도 워낙 전력예비율이 높아 모든 가스발전소가 가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안 된다.

결국 LNG를 직도입 하고 있거나 효율 좋은 설비를 보유해 가격경쟁력이 높은 발전소는 이용률이 높아지지만, 반대로 건설된 지 오래된 발전소들의 이용률은 크게 높아질 가능성이 적다.

때문에 민간발전사(IPP)들은 중장기적으로는 환경급전을 전력시장제도에 반영하되 당장은 용량요금(CP)과 전력시장가격(SMP)을 현실화하는 게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10월 정부는 업계의 어려움을 고려해 15년간 동결해 온 CP를 2원 정도 올렸지만, 아직도 고정비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고,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가스발전소의 특성을 전력시장가격(SMP)에 반영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최신 LNG발전소 시장에 매물로 등장…신규 건설도 좌초 위기

몇 년 전부터 시작된 민간발전사(IPP)들의 경영난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조만간 발표될 지난해 경영실적에서 가스발전을 보유하고 있는 민간발전사들의 경영성과가 안 좋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국내 빅3 IPP인 포스코에너지, SK E&S, GS EPS는 그나마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최근 시장에 진입한 에스파워, 동두천드림파워, 포천파워, 평택에너지서비스 등은 연이은 적자가 예상된다.

삼천리가 대주주인 에스파워는 이미 한국남동발전에 발전소를 매각하기 위해 가격협상까지 끝마쳤으며, 정부의 허가만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2013년 8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통영 천연가스발전소 발전 면허를 받은 현대산업개발도 3년 만에 어렵사리 부지까지 확보했지만, LNG 발전 사업의 경제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업권을 반납할 처지에 놓여 있다.

민간발전사의 한 관계자는 “탈원전, 환경급전 등으로 가스발전의 미래가 밝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당장 경영난에 봉착한 상황에서 5년, 10년 후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다”며 “더욱이 똑같은 가스발전기를 보유하고 있는데 발전공기업들은 수익이 나고, 민간발전사들은 적자가 나는 현행 전력시장제도를 하루 빨리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