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증가할수록 충방전시스템 V2G 활용방안 다양해져

전기차 배터리 용량이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면서 에너지공급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등장하고 있다. 전기차를 에너지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해 피크절감을 하거나, 분산자원으로 이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가가치도 상당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지난 20~2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회 국제에너지컨퍼런스에서는 전기차를 충전했다가 다시 방전할 수 있는 양방향 충방전 기술 ‘V2G(Vehicle to Grid)’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예를 들면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로 전기차를 충전했다가 전기요금이 비싼 피크시간대에 다시 꺼내 쓰거나 일시적으로 전기수요가 급증할 때 발전기 대신 투입할 수도 있다.

컨퍼런스 기조강연자로 나선 문승일 서울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전기공학도 입장에서 수송은 전기차의 수많은 기능 중 하나일뿐”이라며 “개인적으로 전기차 100만대 보급 시점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V2G가 가능해지면 원자력 발전소 10기가 돌아다니는 효과와 맞먹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전기차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공급 측면에서도 필요하다”며 “국내에 등록된 자동차 2500만대 중 100만대를 전기차로 대체하는 건 어렵지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충방전이 동시에 가능한 전기차를 전력계통과 연계할 경우 전력산업 측면에선 새로운 전력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충전만 할 수 있는 충전인프라가 아니라 양방향 충방전 인프라를 보급하려면 최소 5~10년 이상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투자해야 한다는 게 문 교수의 생각이다.

김현웅 그리드위즈 연구소장도 21일 컨퍼런스 발제자로 참석해 “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그리드위즈는 전기차를 이동형 ESS로 인식하고 있다”며 “전기차를 수요반응(DR)과 연계하면 연간 kW당 4만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한다고 보기 때문에 V2G가 가능해지면 새로운 서비스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또 “USB 선풍기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이미 충방전이 동시에 가능하다”며 “전기차는 스마트폰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수백배나 더 크기 때문에 활용방안도 다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상용화된 전기차 중 V2G가 가능한 차량은 없다. 차량뿐 아니라 충전기 역시 안정적으로 전기를 역송 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V2G가 시장에 등장하려면 최소 5년은 지나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또 V2G는 전기차를 계통에 연계하는 만큼 만약 전력계통에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소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차량이 문제인지, 충전기가 문제인지, 계통이 문제인지 현재로선 정의가 불가능하다. 완성차 제조회사 입장에선 V2G 때문에 전기차를 팔려다가 막대한 피해를 보상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