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년 전부터 야심차게 추진했던 U-시티, 그러나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금방이라도 새로운 도시모델로 자리 잡을 것 같았던 유비쿼터스라는 단어의 등장 빈도수가 줄어드는 것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ICT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U-시티. 사실 최근 말하는 스마트시티와 개념적인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든 게 사실이다.

때문에 취재 과정에서 U-시티와 스마트시티의 개념적인 차이에 대한 질문을 자주 하지만 정확한 개념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최근 환경의 변화로 대부분의 시민들이 스마트폰 등 스마트디바이스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측면에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정도를 차이로 들 뿐이었다.

최근 정부가 스마트시티 사업모델 개발에 많은 힘을 쓰고 있다.

IoT와 4차 산업혁명이 시장의 화두로 떠오르는 요새, 특히나 정부가 그토록 강조하던 ‘융합’ 측면에서도 ICT와 연계한 건설사업 모델 개발은 분명 매력적이다.

그러나 U-시티가 사실상 한차례 동력을 잃었던 점을 감안할 때, U-시티 사업의 한계와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을 통한 발전방향에 대해 한 번쯤은 짚고 가야 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최근 LH나 SH 등 공공기관에서도 스마트시티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심하는 전문가들이 하나 둘 늘고 있다. 고무적인 일이다.

반면 정부의 최근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행보를 보면, 큰 밑그림은 그렸으나 세세한 부분에서의 채색이 아직까지 모자란 것을 느낀다.

정부는 스마트시티라는 구호만 요란하게 외칠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에 적용할 요소기술들, 그리고 시민들이 스마트시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해야 한다.

그것이 U-시티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는 발전모델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