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하철의 대명사처럼 돼있던 정시성을 포기하고 ‘안전’에 방점을 둔 지하철 운영 정책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특히 눈여겨볼 대목은 안전인력에 대한 대폭 충원과 노후설비 교체시기를 앞당겼다는 점이다.

이번 조치에서 서울시는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확대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충원했다. 통합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키로 했다. 특히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을 ‘안전센터’로 개편해 안전관리부서로 운영키로 한 것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안전한 지하철로 변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승강편의시설의 주요 부품의 정밀안전주기를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한 것은 안전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첫 단추를 제대로 뀄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안전 시스템 구축에는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 것이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 총 7조8066억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는데, 비용을 떠나 서울시는 시민의 발이라 할 수 있는 지하철 운영에 있어 시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해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건을 비롯해 지하철과 연관된 크고 작은 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했고, 재발 방지대책을 만들었지만 무용지물이란 소리를 들었다. 이번은 그동안 대책과 다른것이 있다면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인데, 지하철에 종사하는 직원들은 물론 관련 업계의 변화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또 우리사회가 고도성장 시대를 지나 리모델링 시대로 접어든 상황에서 노후설비 교체 주기에 대한 명확한 정립과 또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예방으로 접근한 것은 선진화된 노후관리 시스템으로 정착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