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國서 434기 운전 중, 3억9900만KW 출력 ‘역대 최고’
안정적 에너지 확보, 온실가스 감축 등 이유 원전정책 당분간 지속
한국, 원전 건설・운영경험 풍부 ‘장점’ 정부・금융 지원 취약 ‘단점’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해외 원자력산업계는 침체기를 겪었다.

독일, 스위스, 벨기에 등은 원전 폐지 또는 축소를 결정하고, 원전을 도입하려던 국가들도 안전을 이유로 도입을 연기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국가들은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와 경제성, 온실가스 배출저감 등의 이유로 원전 확대 또는 유지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문제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마땅한 수단이 없다보니 원전을 당분간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원자력발전 해외동향

원자력산업회의가 발간한 2016년 세계 원자력발전에서 현황과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1월 1일 현재 세계의 운전 중인 원전은 약 30개국의 434기, 약 3억9900만kW로 역대 최고의 합계출력을 기록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발표한 세계 원전 수요전망에서도 2030년 세계 원자력 발전용량 추정치는 약 4억kW~7억kW로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6 원자력백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중국은 30기의 원전을 운영 중인 가운데 21기를 건설 중이다. 러시아도 운영 중인 원전이 30기이고, 9기를 건설 중인 가운데 2030년까지 21기의 추가 원전건설을 확정했다. 인도도 현재 21기의 원전을 운영 중이며, 6기를 건설 중에 있다.

국가별 원자력발전 점유율을 보면 프랑스가 76.3%로 가장 높고,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은 50% 이상, 우리나라를 비롯한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체코, 아르메니아,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핀란드 등은 30% 이상, 스페인, 미국, 영국, 러시아 등은 약 20%를 원자력이 담당하고 있다.

◆원자력 수출 해외동향

IAEA에 따르면 2016년 8월 현재 원전은 14개국에서 61기가 건설 중이다. 또 2030년까지 70여기를 비롯해 약 170여기가 건설 계획 중이다.

전 세계에서 건설되고 있는 원전 중 38%가 중국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중국은 이를 발판으로 세계 최대의 원자력 강국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원전수출 공세를 펼치고 있다.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원전을 계획하고 있는 인도는 18기의 건설 계획을 갖고 있으며, 남아공, 베트남, 체코 등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신규원전 수요가 있는 상황이다.

세계 주요 원전업체들은 수주 목표 국가에 지사를 설립하고, 정부와 산업계가 합동으로 원전세일즈를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정부가 국영 원전 기업간 통합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기술력 증대, 시장진출 및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의 장단점과 원전 수출가능성

발전능력 면에서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중국에 이어 6위로 평가받는 한국은 지난 30여년간 꾸준히 원자력발전소를 건설·운영한 경험이 풍부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선진국들의 경우 최근 몇 년간 건설물량이 없어 설계부터 건설·시공, 원전기자재로 이어지는 공급체인이 무너졌지만, 우리나라는 일괄체인이 갖춰져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UAE 바라카 원전 4기 건설사업의 경우도 1호기는 다소 지연됐지만, 전체 종합준공은 계획대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의 지원, 특히 금융 분야에서 취약한 게 단점이다. 원전을 도입하는 국가들의 경우 대부분 아프리카나 아시아, 중남미 등 자금이 부족한 나라여서 원전 수출국에 금융지원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이나 중국, 러시아 등에 비해 자금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최근 원전 국제입찰에서 우리나라가 실패한 것도 대부분 부족한 금융지원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최근에는 원전을 유치하려는 많은 국가들이 금융지원뿐만 아니라 각종 인프라와 인력양성, 국방무기까지 지원을 요청하는 사례도 있어 국가 정상 간의 협상이 중요한 상황인데, 우리나라는 대통령의 공석이 길어지면서 물밑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자력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수출 설명회 등에 가보면 우리나라의 기술력과 트랙레코드에 대해서는 만족해하는 분위기지만, 금융지원 등 사업 외적인 요구사항이 많아 정부의 지원이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