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산업에 돈이 몰리고 있다.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면서 전용펀드를 비롯한 금융상품이 잇따르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에너지신산업에 투자확대와 수출증가 등 전반적인 기대심리를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자금조달 운영 방법도 판이해졌다. 지금까지는 공공프로젝트 형태로 국책은행이나 공기업들이 공동 투자나 출자를 했던 반면 최근에는 펀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민간투자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올해들어서만도 대출, 펀드, 투자 등 관련 금융 상품이 4조1000억 규모에 이를 정도로, 늘어나고 있는 액수만 봐도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의욕이 감지된다.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용의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거나 신규로 펀드 등을 내놓을 곳들이 많다. 우리은행, KDB인프라자산운용, 삼성카드, 신한은행, SK증권, KB자산운용 등이 대표적 민간투자기관이다. 여기다 에너지신산업 정책펀드 규모도 엄청나다. 한전은 2조원 상당의 전력신산업 펀드를 조성키로 하고 우선 5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사모펀드를 설정,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에게 위탁하는 등 에너지신산업에 금융지원이 늘어나고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일단 모양새는 고무적이다.

그러나 에너지신산업의 이런 금융상품들이 ‘그림의 떡’처럼 ‘부익부 빈익빈’상태로 변질되어선 곤란하다. ‘에너지저장장치(ESS)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금융권을 찾았지만 수십억원에 이르는 담보 제공을 요구해 거절당했다’는 것처럼 자금 대출 문턱이 높으면 아무리 좋은 금융상품이 나왔어도 중소기업에게는 무용지물이란 얘기다. 금융 관계자들도 이런 중소기업자들의 고충을 이해하지만 에너지신산업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검증이 필요해 담보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쨌든 에너지신산업에 투자가 활성화되고 금융권의 지원이 커진 만큼 중소기업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정책적 금융지원등의 대안마련에도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