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산업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정책사업을 관장하는 한국에너지공단의 달라진 입지와 위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적으로 정부 에너지사업 중에서 많은 부분이 에너지공단으로 이양돼 예산규모 자체가 1조원대에서 5조원대 이상으로 엄청나게 늘어났다. 직원 숫자도 많이 불어 500명 이상의 준정부기관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기관으로서의 한국에너지공단 위상이 크게 높아지는 등 일단 외관상으론 변화의 물꼬를 열고 있다.

정부는 에너지신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기 위해 에너지공단을 포스트로 일단 석유공사가 맡고 있던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융자사업’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에너지공단에 내줬다. 또 지난날 다른 기관에 이양했던 집단에너지사업이나 에너지관련 R&D사업등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사업을 확대하며 직원을 400명대에서 537명으로 늘리는 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그늘에서 대통령 직할로 운신의 폭이 달라진 것이다.

에너지 특별회계의 주도권을 잡았다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큰 변화다. 종전에 석유공사와 석탄공사가 나눠서 관장했던 ‘2017년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예산 5조908억원 규모(잠정)를 에너지공단이 맡아 수행하게 됐다는 건 정부의 에너지사업 주류가 이동됐다는 시작점으로 보인다. 에특회계는 특히 정부가 에너지 수급 가격 문제와 에너지·자원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한 관련기관들의 통합자금이란 점에서 볼 때 앞으로 에너지공단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는 것이다. 사실상 정부가 에특회계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 광해관리공단, 가스안전공사로 다원화 돼있던 융자대상 기관을 에너지공단으로 일원화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게다가 이곳저곳으로 산재돼 있던 에너지해외사업 추진도 에너지공단에 해외진출전담센터를 신설,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하는 등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에 새로운 포스트를 내세워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지금부터다. 지난 2015년 7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한국에너지공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에너지사업을 주도하는 주체가 되는 등 정부가 힘을 실어주고 외형적으로도 크게 불어난 몸집만큼, 과연 내용이나 성과면에서도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가가 앞으로 남은 중요한 과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