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으로 주춤했던 정부 공공기관장 인사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 어느 때 보다 관심이 크다. 이런 맥락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공공기관 역시 임기가 이미 만료됐거나 인선 작업 중에 있는 후임자 선정에 되도록 속도를 낼 것으로 보여 진다. 정부의 이런 방침은 ‘최순실게이트’로 인해 제기능을 못하고 있는 공공기관들의 경영공백을 메우고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안정적 운영을 하겠다는게 초점이다.

한국무역보험공사가 17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사장공모에 들어가기로 하는 등 7개 기관 정도가 새로운 수장을 뽑는다.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장 중 임기가 만료됐거나 한달 남짓 남은 기관 가운데는 가장 먼저 공모를 마치고 사장추천위에서 3명의 후보를 선정해 신임 사장을 선임할 한전KPS와 지난 16일 사장 공모 절차에 들어간 한국전력기술을 포함해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 중에 있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도 사장임기는 만료된 상태다. 그 뒤로도 1월27일 사장 임기가 끝나는 한전원자력연료, 2월20일 만료되는 한국전기안전공사와 관심이 모아지는 한국전력공사도 2월28일이면 현임 사장이 자리를 내놔야 할 판이어서 진작부터 후임자에 대한 인물론이 설왕설래하고 있다.

사실상 그동안은 기관장 공모를 해도 임원추천위원회만 구성해 놓고 공모절차를 생각조차 못하거나 국정농단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된 공공기관은 임기가 끝나도 운영공백상태에 직면하는 등 제대로 사장 인선작업을 하지 못했다. 더구나 탄핵정국에서 주무부처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토록 돼있는 공공기관장의 인사권을 발동하기 곤란했던 점도 이해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최종 인사권을 가진 대통령권한대행이 정해진 입장인데다 경영공백 상태로 공공기관을 방치할 수도 없는게 현실이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밝힌 “현재 공석중이거나 임기가 만료되는 공공기관장 중 부득이한 경우에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제한적으로 인사를 시행할 수 밖에 없다”는 배경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게다가 대내외적인 경제여건이 좋지 못한데다 올해 경영계획이나 예산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여 공공기관장 인선만큼은 초당적 차원에서 강구돼야함이 마땅하다. 특히 이번에 바뀌는 공공기관장 인선에는 탄핵정국과도 관계가 깊어 정권말기의 보은인사나 연줄이나 인맥 등 뒷배경에 의한 정실인사는 배제될 가능성이 커 내부인사나 관련학계, 관료출신까지 다방면에서 지원자가 몰릴 것으로 보여 진정한 경쟁을 통한 공공기관장 인사가 이뤄지길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