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주 기자
이진주 기자

비상전원용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비상발전기와 ESS 업계가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정부가 ESS산업 육성 차원에서 비상전원용 ESS 활용을 적극 지원하자, 비상전원의 절대강자로 꼽혔던 비상발전기의 자리가 위태해진 것이다.

정부는 지난 2월 ESS를 비상전원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했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발표했다.

실제로 9월과 11월 LS산전과 LH가 각각 사옥과 아파트에 비상전원용 ESS를 설치하면서 비상용 발전기 시장에 대한 ESS의 위협이 점점 구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 지난 14일 LH와 LG전자 공동으로 개최한 ‘공동주택 중심의 ESS&에너지 IoT 기술공유 컨퍼런스’에서는 비상가동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다는 것을 근거로 ESS의 비상전원 활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이날 컨퍼런스에 참석한 산업부 사무관 역시 비상디젤발전기의 경우 환경이 오염되고 디젤 연료 사용에 따른 비용, 소음 등의 근거를 들면서 비상발전기보다 ESS의 활용도가 높다는 데 손을 들어줬다.

ESS의 비상발전기 대체 가능성 이슈는 2012년쯤부터 제기됐다.

당시에는 규정상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은 의무적으로 비상발전기를 갖춰야 했기 때문에 시장 수요는 꾸준했고, 당분간은 ESS로 인해 비상발전기 입지가 흔들릴 가능성은 없어보였다.

그러나 ESS 시장 확대는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빨랐다.

2012년 1MWh에 불과했던 보급량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에 힘입어 2015년 21MWh까지 늘어났고, 앞으로도 산업용 ESS 뿐만 아니라 주택용 ESS 활용분야를 넓혀나가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ESS 업계에는 1000억원대의 신시장 창출 기회가 됐지만, 기존 비상전원이었던 비상용 발전기 업계의 경우 긴장해야할 경쟁상대가 나타난 셈이다.

이에 비상발전기와 ESS를 연계하는 ‘윈-윈’ 사업모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막대한 초기투자비용을 줄이기 위해 소용량 ESS와 발전기를 더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

ESS는 이미 전기산업의 대세가 되고 있고, 이는 피할 수 없는 변화다. 여기에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는 비상발전기 업계가 ESS와 어떤 방법으로 동반성장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지 궁금해진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