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수능은 오는 17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응시생은 60만5988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5199명 감소했다.

수능은 지난 1994학년도부터 새로운 대학입시제도에 따라 시행됐다.

수능 도입 첫 해에는 기존의 학력고사와는 달리 통합 교과서적 소재를 바탕으로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돼 학생과 학부모들을 ‘멘붕’으로 빠트렸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기자가 고등학교 2학년 시절에 3학년 선배들도 ‘수능 1세대’의 꼬리표를 달고 처음으로 수능을 치룬 뒤 혀를 내둘렀었던 추억이 떠오른다.

수능은 23년의 역사를 가진 오랜 입시제도인 탓에 관련된 에피소드도 넘쳐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인 것은 2004년 11월 17일 치러진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이 때 일부 수험생들은 자신의 점수를 높이기 위해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통해 답안을 전송하거나 대리시험을 치르게 하는 수법으로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광주광역시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집단 부정행위가 드러났고, 이후 전국 각지에서 부정행위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건은 일파만파로 커졌다.

학생 입장에서 짧게는 고등학교 3년, 길게는 중학교까지 6년 간 공부한 자신의 지적역량을 단 한 번의 시험성적으로 평가받고, 이 성적이 자신이 갈 대학과 향후 진로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현실이 당시 집단 부정행위의 근본적 원인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이 같은 교육시스템이 지금도 큰 변화가 없다는 사실이다.

수차례 입시제도 개선을 통해 다양한 전형방식이 도입됐지만 여전히 수능이라는 전국 단위의 시험으로 학생들에 등급을 매기고, 이를 토대로 대학에 지원하는 기본적인 골격은 유지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갖춘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고, 무인자동차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사지선다(四枝選多) 형식의 현행 수능 시스템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충분히 평가하기에 분명 한계가 있다.

지난 9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객관식 문제가 주를 이루는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폐지하고 새로운 방식의 평가제도가 필요하다”며 제4차 산업혁명에 맞춘 미래 교육전략과 제도 도입이 절실하다고 주장한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의 말을 이제는 진지하게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