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전기철도기술사회 신임 회장 선출
“전문기술사 양성 등 현안 산적해 큰 책임”
“기술사법 개정안 국회 통과 위해 적극 노력”

[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한국 전기철도는 1973년 중앙선 청량리~제천 구간이 전철화돼 개통한 이래 주요간선 및 수도권 광역전철망 확충 등을 거쳐 빠르게 발전해왔다. 2004년 고속철도의 개통은 전기철도산업 도약의 전환점이 됐다. 특히 오는 2030년까지 전철화 확충계획이 약 34%(1066km)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기반산업으로 언급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철도기술사’는 전기철도 산업의 발전을 주도할 핵심 인력으로 꼽힌다. 지난 1999년 제59회 국가기술사 시험에 자격종목으로 최초 도입된 이래 지난해까지 누적 합격자 수는 총 173명을 배출, 철도설계·감리·제조·학술연구·교육 등 전 분야에서 한국 철도의 기술발전과 공공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 같은 발전상의 중심에는 지난 6월 한국전기철도기술사회 회장으로 선출된 박삼홍 회장(현 디투엔지니어링 부회장)이 있다. 전기철도업계에 첫발을 내디딘 지 40여 년. 공공·민간 영역을 오가며 현업 일선에서 뛰어온 그는 다시 한번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

박 신임 회장은 “한국 전기철도산업의 발전과 기술사의 권익보호를 위해 뛰어달라는 부름을 받고 중책을 맡게 돼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철도 첨단 기술력 향상과 전문기술자 양성 등 현안이 산적해있는 만큼 임기(3년 단임) 내 성과를 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최대 현안으로는 ‘기술사법 개정’을 거론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기술사법 개정안은 공공기관 설계 시 일정 종류 및 규모가 될 경우에는 기술사가 의무적으로 최종 서명날인을 하고 감리에 직접 참여토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술사가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중대재해에 대해서는 엄격한 벌칙 규정을 둠으로써 권한과 책임을 모두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박 회장은 “이 개정안은 기존에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더라도 ‘기술사의 업무영역’이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아 전문 자격제도로 정착되지 못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며 “전문 인력이 적재적소에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기철도 분야 또한 최고 전문가인 전기철도기술사들이 건설·운영 부문에서 공공철도 안전성 강화에 앞장서야 하기 때문에 보다 큰 권한과 책임 부여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한국전기철도기술사회는 기술사법 개정에 찬성하며,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신임 회장으로서 회원들 간 소통 접점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한국 전기철도가 국민적인 신뢰를 확보하는 데도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박 회장은 “회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진솔하게 소청하며 이를 관계부처에 전달함으로써 회원들의 권익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또한, 과거 철도청(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의 전신)에서 수많은 전철화 사업을 기획하고 총괄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 전기철도가 높은 안전성으로 국민들의 신뢰를 받는 대중교통이 되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산업 발전을 위해 업계의 유능한 인재들이 전기철도기술사에 더 많이 도전해달라는 당부의 메시지도 전했다.

박 회장은 “전기철도 기술 분야는 향후 국가철도뿐만 아니라 해외시장까지 뻗어나갈 수 있는 지속발전이 가능한 산업군”이라며 “설계·감리·건설공사·유지관리·제조·기술연구 등 다양한 영역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려 있는 만큼 많은 인재들이 전기철도기술사에 지원해 함께 산업발전을 이끌어주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