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중인 발전소는 원전 4기, 석탄 7기, LNG 1기
LNG・태양광・풍력 등은 대거 예정이지만 불확실

[전기신문 정형석 기자]정부는 올겨울 최대전력수요는 8760만kW, 예상치 못한 강추위가 몰려올 경우 최대 9040만kW로 예상했다. 실제 지난 1월 7일 전국에 몰아닥친 북극 한파로 난방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최대전력수요가 겨울철 역대 최고치인 9020만kW를 기록했다. 겨울철로는 사상 처음 9000만kW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오후 4시 40분쯤 순간적으로 9061만kW까지 치솟았지만, 최대전력수요는 순간 전력수요가 아니라 한 시간 단위로 평균을 내 계산한 값이다.

국내 발전설비용량은 2020년 12월 기준 1억2453만kW다. LNG가 4075만kW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석탄 3835만kW ▲원자력 2325만kW ▲신재생 1065만kW ▲양수 470만kW ▲유류 208만kW 순이다.

◆현재 건설 중인 발전소는 어디?

현재 건설 중인 발전소 가운데 원자력발전소는 총 4기다. 이 중 경북 울진에 건설 중인 신한울 1·2호기는 올해 8월 종합 준공될 예정이다. 2800MW급 신한울 1·2호기는 지난 2006년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지 4년 만인 2010년 착공해 1호기는 지난해 10월 준공했고, 2호기는 올해 8월 준공예정이다. 주기기는 두산중공업이 공급했으며 현대건설과 SK건설, GS건설이 시공을 담당했다. 총공사비는 9조4436억원 가량이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는 국내에서 건설되는 마지막 원전이다. 지난 2008년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신고리 5·6호기는 2016년 건설을 시작해 우여곡절 끝에 건설을 재개, 2024년 6월 준공예정이다. 주기기는 두산중공업이 공급하고, 삼성물산과 두산중공업, 한화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총공사비는 8조6253억원이다.

석탄발전소는 7기가 건설 중이다. 이 중 3기가 올해 준공한다. 한국중부발전의 1000MW급 신서천화력은 3월 준공한다. 지난 2013년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신서천화력은 2015년 공사를 시작해 64개월간의 공사를 마치고 준공을 앞두고 있다. 주기기는 두산중공업(터빈)과 MHPS -대림(보일러)이 공급하고 한화건설과 범양건영, 태화건설이 토건공사를, 한진중공업과 태화건설산업이 기전공사를 맡았다. 공사비는 1조6138억원이 투입됐다.

남동발전과 SK건설, SK가스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고성그린파워의 고성하이화력 1·2호기는 올해 10월 준공 예정이다. 역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고성하이화력은 국내 민자발전 최대인 2080MW규모로, 총공사비 5조1960억원이 투자됐다. 주기기는 두산중공업(터빈, 보일러)이 공급하고, SK건설과 서희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남동발전과 SK가스가 석탄연료를 공급할 계획이다.

남동발전과 삼성물산이 설립한 강릉에코파워의 강릉안인화력 1·2호기는 2023년 3월 준공 예정이다.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됐지만, 일정이 지연되면서 2017년 5월 착공에 들어갔다. 주기기 공급은 삼성물산과 두산중공업이, 시공은 삼성물산이 담당한다. 공사비는 총 5조6000억원이며, 여기에는 2선로 송전건설비용이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

포스코에너지 삼척블루파워의 삼척화력 1·2호기는 국내 최대인 2100 MW급 석탄발전소다.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됐지만 환경영향평가와 실시계획승인이 늦어지면서 2018년 8월 공사를 시작해 2024년 4월 준공 예정이다. 주기기는 두산중공업이 공급하고, 두산중공업과 포스코건설이 시공을 담당한다. 총공사비는 4조9124억원이다.

요즈음 대세인 LNG발전소 중 건설 중인 곳은 SK E&S 여주에너지서비스의 여주천연가스발전소가 유일하다.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1004MW급 여주천연가스발전소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이후 6년 만인 2019년 12월 공사에 들어가 2022년 7월 준공 예정이다. 공사기간은 31개월이다. 주기기는 지멘스가 공급하고, 시공은 SK건설이 맡았다. 총공사비는 7059억원이다.

집단에너지사업 중에서는 GS파워의 안양열병합 2호기(480MW급)가 올해 12월 준공 예정이다. 962MW 1·2호기 건설에 8782억원이 들어갔다.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양산집단에너지시설은 118.9MW 규모로, 2023년 4월 준공 예정이다. 공사비는 1558억원이다.

◆착공을 앞두고 있거나 건설 예정인 발전소는 어디?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라 더 이상 건설이 예정된 원전과 석탄발전소는 없다. LNG발전소 중에서는 통영에코파워, 울산지피에스복합, 음성천연가스발전소 등이 있다.

현대산업개발과 한화에너지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통영에코파워는 지난해 12월 착공해 2024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920MW급 통영에코파워는 현대산업개발이 공사와 발전소 운영을 맡고, 한화에너지는 LNG 구매와 조달을 담당한다. 가스공사 통영기지 내에 20만㎘급 LNG저장탱크 1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총공사비는 1조4000억원이다.

SK가스 당진에코파워의 울산지피에스(GPS)복합은 1122MW급 발전소로, LNG와 LPG를 연료로 한다. 오는 2월 착공해 2024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총공사비는 1조522억원이다.

한국동서발전의 음성천연가스발전소는 1122MW급으로, 2017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됐다. 2022년 7월 착공해 2026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총공사비는 1조2000억원이다.

집단에너지설비 중에서는 한국서부발전의 김포열병합이 지난해 12월 착공해 2023년 6월 준공 예정이다. 349MW 규모의 이 발전소에는 6032억원이 투자된다.

한국남부발전과 롯데건설이 출자한 내포그린에너지 열병합은 495MW 규모로, 2010년 SRF로 집단에너지사업허가를 취득해 2019년 2월 LNG로 연료전환했다. 서울에너지공사가 건설 예정인 마곡열병합은 올해 8월 착공해 2023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2011년 50MW로 집단에너지사업허가를 받았지만 2014년 285MW로 변경됐다. 공사비는 3528억원이다. 한국남부발전의 세종열병합 2단계는 585MW로 오는 4월 착공해 2023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585MW 규모로 공사비는 5599억원이다.

40MW 이상 태양광과 풍력발전도 대거 건설된다. 전남 신안에 3월 준공 예정인 안좌스마트팜앤쏠라시티 태양광은 96MW 규모로 공사비는 3108억원이다. 12월 준공 예정인 40.32MW급 합천수상태양광의 공사비는 838억원이다.

이밖에 ▲한국남동발전의 고흥만 수상태양광(63MW 규모, 공사비 1437억원, 2020년 11월 착공) ▲비금주민태양광(200MW, 3750억원, 2021년 9월 ~ 2022년 12월) ▲신안증도태양광의 빛과소금태양광(95.68 MW, 1435억원, 2021년 12월 ~ 미정) ▲새만금희망태양광(99MW, 1447억원, 2020년 11월 ~ 2021년 12월) ▲한국서부발전의 새만금육상태양광 2구역(90MW, 미정, 미정) ▲석문호 수상태양광(79.833MW, 2176억원, 2021년 1월 ~ 미정)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 신안그린쏠라발전 1단지(41.8MW, 840억원, 미정) ▲케이이엔 영광그린태양광(90MW, 1900억원, 2020년 12월 ~ 미정) ▲한으뜸태양광 충주체리태양광(50MW, 750억원, 미정) ▲태안안면클린에너지 태양광(330MW, 미정, 2020년 12월 ~ 2021년 12월) ▲고흥신에너지 해창만 수상태양광(95MW, 2071억원, 2020년 10월 ~ 미정) 등 있다.

풍력발전도 대거 건설 중이다. ▲청송면봉산풍력(79.8MW, 2000억원, 2019년 11월 ~ 2021년 11월) ▲태백가덕산풍력(43.2MW, 1200억원, 2018년 11월 ~ 2020년 11월) ▲파인드그린 감포파인드그린풍력(92.4MW, 2310억원, 2021년 6월 ~ 미정) ▲대한그린에너지 강구풍력발전(46.2MW, 1020억원, 미정) ▲동국에스엔씨 강릉풍력(84MW, 2100억원, 2022년 8월 ~ 미정) ▲한국남부발전 강릉안인풍력(60MW, 1750억원, 2021년 9월 ~ 2022년 12월) ▲지에이파워(333MW, 1400억원, 2022년 3월 ~ 미정) ▲리미트솔라 고군산풍력(99MW, 1120억원, 2021년 6월 ~ 2023년 5월) 등 발전사업 허가를 획득한 풍력발전은 수백 건에 달한다.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의 사업이 주민민원 등으로 진척되지 않아 기한이 없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