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나지운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전력망 보강의 청사진을 그렸다.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발맞춰 부족한 송‧변전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논란이 되고 있는 송전망의 중립성과 공정성도 확보한다는 포부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전은 2021년도 업무 계획을 수립하며 재생e 접속대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전력망 보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접속대기란 발전 설비가 구축돼 전력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지만 이를 전달할 송‧변전 인프라의 부재로 에너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송‧변전 설비가 마련돼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한전이 이를 담당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재생에너지설비의 접속대기율은 24%, 용량으로는 3727MW수준이다. 원전4기 수준의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발전 설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전 전력그리드본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단기 전력망 보강 대책을 수립했다. 단기적으로는 ▲LNG 전환 발전소 24기의 계통여유지역 유도 ▲FACTS(유연송전설비), ESS, 동기조상기 등의 건설로 계통안정화 도모 ▲폐지발전소 부지 및 기설선로 활용으로 대규모 재생e 단지 연계 등을 내놓았다. 이를 토대로 장기적으로는 AC(교류)-DC(복합망) 기술을 활용해 전력흐름을 제어하고 지역간 수급 균형을 이루겠다는 설명이다.

기존 설비의 수용능력을 늘리겠다는 계획도 내세웠다. 변압기의 최소부하를 고려해 재생e 접속용량 기준을 탄력적으로 늘리고 전력망에 재생e를 우선 접속하게 한 뒤 비상상황시 출력을 제어해 추가 접속여유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재생e 과밀지역에서는 민간 설비를 인수해 공용망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설비 추가 건설 의지도 내비쳤다. 40MW를 기준으로 발전용량이 이보다 적은 지역에서는 송전용전기설비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초과하는 지역은 ‘재생e 직접화 단지’ 사업계획에 설비 마련 방안을 포함하겠다는 설명이다.

한전은 또 논란이 일고 있는 송전망 중립성 확보에도 성공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송‧변전 위주의 사업을 영위해오던 한전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신재생 발전 사업에도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 발전사는 거대기업인 한전과의 경쟁 가능성 여부에 우려를 표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한전은 송전망 접속여유 등 정보공개를 확대하며 송전망 관리‧운영 사업부문과 시장운영 사업부문을 분리해 별도 조직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그 뿐만 아니라 제3의 독립된 감독기구를 설립해 문제 행위를 감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