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中企 50개사 대상 설문조사 실시
판매부진·자금부족·인건비 부담 등 애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중소기업 5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 유지 가능 시한 및 시행 비상경영 대책(맨 위부터)’, ‘전년동기 대비 상반기 매출실적 및 하반기 매출 전망’, ‘경제위기 지속 기간 및 주요 애로사항’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중소기업 5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 유지 가능 시한 및 시행 비상경영 대책(맨 위부터)’, ‘전년동기 대비 상반기 매출실적 및 하반기 매출 전망’, ‘경제위기 지속 기간 및 주요 애로사항’

코로나19가 장기간 지속되면 중소기업 3개사 중 1개사가 향후 1년 이상은 기업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가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경영자문을 실시했거나 간담회를 개최한 중소기업 5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34%의 중소기업이 현재와 같은 경제위기가 지속될 경우 1년 이상 기업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유지 가능 시한을 6개월로 응답한 기업이 12%, 1년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22%였으며 1년 6개월 12%, 2년 8%, 3년 10%, 3년 이상 36% 등 응답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이같은 결과는 인력감축 등 비상 경영을 추진해도 경제위기가 지속되면 기업을 유지하기 어려울 만큼 경영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대응해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할 예정인 비상경영 대책에 대해서는 일상경비예산 축소(26.9%)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인력감축(21.5%), 사업구조조정(20.4%), 임금축소(7.5%), 휴업(7.5%), 자산매각(6.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중소기업들이 일상경비 축소와 함께 인력감축 등 인력구조조정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2020년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이 68.7%로 하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중소기업은 64.6%였다. 39.6%의 중소기업의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37.5%의 중소기업은 하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국내 판매 부진, 국내외 공급망 붕괴,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제 정상화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중소기업 매출액 실적과 전망이 부진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1년(4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은 2년(30.0%), 1년 6개월(16.0%), 6개월(4.0%), 3년(4.0%), 3년 이상(4%) 등 순이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위기가 1년 이상 장기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영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국내 판매부진(27.9%) 운영자금 부족(23.3%), 인건비 부담(22.1%), 해외수출 부진(9.3%), 업체간 과당 경쟁(4.7%) 등의 답변이 나왔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 관련 중소기업 지원 대책에 대해서는 불만족(42%)하거나 매우 불만족(16%)한다는 의견이 만족(10%)한다는 의견에 비해 6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정부 지원 방안에 불만족(매우 불만족 포함)한다고 답변한 29개 기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 본 결과, 협소한 지원 조건 및 대상(30.8%)이 가장 높았다. 부족한 지원 규모(25%), 복잡한 지원절차(15.4%), 불명확한 기준(13.5%) 등의 응답도 나왔다.

중소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운영자금 지원(33.3%), 세금감면 확대(26.9%), 고용유지지원 제도 개선(15.1%), 자율구조조정 촉진(9.7%), 중소기업 제품 소비증진 대책(8.6%)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제위기에 취약한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정부 지원이 금융·세제·고용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이 체감할 수 있도록 추진돼야 하고 중소기업 제품 소비·수출 지원, 자율 구조조정 지원 등 중소기업 체질 개선을 위한 대책도 병행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