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도시재생 및 관광 활성 ‘일석이조’

홍콩 트램 전경.
홍콩 트램 전경.

근현대 시절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트램(노면전차)이 50년 만에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서울 1945’와 같은 근현대사를 다룬 드라마에 등장하는 트램은 1968년 완전히 폐선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바 있다.

이 같은 트램은 21세기의 5분의 1이 지난 시점에 대한민국 국토 곳곳을 누빌 채비를 진행 중이다. 대전광역시는 2호선 32.4㎞에 대해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서울특별시는 위례선 5.4㎞, 부산광역시는 오륙도선 1.9㎞, 경기도는 동탄도시철도 32.4㎞에 대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상위계획 반영 단계에 이른 지방자치단체도 세 곳이다. 경기도는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오이도연결선, 송내-부천선, 수원 1호선, 스마트허브노선 등에 대해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성남 2호선은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인천광역시는 인천남부순환선, IN-Tram, 영종내부순환선, 송도내부순환선 등에 대해 인천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부산시는 강서선, 정관선, 송도선, C-Bay~Park선에 대해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즉 경기도와 부산시는 앞으로 계속 트램 건설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편이다.

이 같은 트램 건설 열풍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응답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최기주)는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권고안의 성격을 가진 설계 가이드라인은 각 지자체에서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도입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이라는 전언이다.

이미 지난 2년간 철도기술연구원, 도로교통공단 등 전문기관과 협업해 내용을 구성하고 올해 수차례에 걸쳐 경찰청, 지자체 및 전문기관 등과 협의해 보완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했다.

▲총칙 ▲선로 ▲신호 ▲전기 ▲관제 및 통신 ▲정거장 ▲차량기지 등 총 7개의 장으로 구성했으며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외 사례도 제시했다.

정부는 트램의 활성화를 위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등의 법률 개정을 통해 트램의 운행 근거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트램은 도시교통난 해소와 함께 도시재생의 효과도 볼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유럽, 북미 등 389개 도시에서 2304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트램이 없는 국가의 국민에게는 그 자체가 하나의 관광 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홍콩 트램은 홍콩섬의 북쪽 지역을 동서로 횡단하는, 1904년 개통된 유서 깊은 철도다. 2층 트램으로 운행하며 노선 바로 옆에 전통시장이 형성되는 등 관광 상권의 핵심축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관광 자원이 없다시피 해 시청 차원에서조차 ‘노잼의 도시’라고 자조 섞인 홍보물을 내놓는 대전시도 베이스볼드림파크 조성사업, 보문산 관광 개발 사업, 드림타운 3000호 건설사업 등과 연계한 도시재생 전략을 수립하고 선도 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키워드

#대전 #트램 #홍콩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