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최근 배전망의 안정적인 운영과 전력산업 효율화를 위한 배전계통 자유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라 접속 원활화 및 전력망 정책을 개선하는 데도 역량을 집중하는 모양새다.

한전 경영연구원이 발표한 일본 전력산업 이슈 및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최근 산간지 등 주 계통에서 먼 지역의 배전망을 분리‧운영해 투자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특히 배전단의 원활한 신재생발전설비 확대 접속을 위해 지자체 신전력사를 중심으로 한 배전과 판매사업체제 허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미 지역 내 에너지 자급자족 확대를 위해 지역 배전망에 대해 잘 아는 사업자의 일괄 운영이 유리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게 한전 경영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송배전 부문은 전면 자유화가 이뤄졌지만 여전히 기존 10개 대형 전력회사가 지역 독점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잦은 대규모 정전과 복구 지연 등으로 인해 소비자 불편이 커지고, 신재생을 주 발전원으로 하는 지자체 신전력사의 대두 등으로 인해 배전단의 안전 운영 부담이 한층 가중되고 있다.

또 2015년 광역적 계통운영과 2016년 판매 전면자유화 이후 전력산업 효율화를 위한 추가 수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추세다.

이처럼 배전망 분리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신규 배전사업자가 전력뿐 아니라 가스‧수도 등 타 공공인프라를 통합 운영하는 방안과 전기차, 수요관리(DR) 등을 활용해 배전망의 추가건설을 회피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산간부‧과소지역의 독립계통화도 추진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12개 지역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시범사업을 실시해 신규 사업자에 배전망 관리‧운영 기술 습득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 전신전화주식회사(NTT)도 배전사업에 참여할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올해부터 자사 건물 7300개에 독자 직류 배전망을 건설해 인근 병원과 공장 등에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또 오는 2025년까지 6000억엔(약 6조6000억원)을 투자해 자사 건물 인근에 신재생, 배전망,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등 공급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전했다.

신재생 투자와 외부 전력조달을 합쳐 2025년까지 4.5GW의 공급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정부는 또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접속대기 완화를 위해 출력제한‧제어와 계통건설 효율화를 위한 광역계통운영기관(OCCTO) 장기계획 수립 기반의 ‘Push System’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