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화 통해 서비스 체계 다지고 정책 반영 위해 REMS 개선”

국제 에너지 관련 기구들의 통계를 살피면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 확산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것은 발전차액지원제도(FIT)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등 정책적 지원이라는 보고서가 적지 않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신재생에너지보급실은 이 같은 의미에서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많은 기여를 한 조직이다.

공공기관 뿐 아니라 민간 등 다양한 분야에 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을 담당하는 부서이기 때문이다.

“우리 센터 내에서 가장 다양한 업무를 하는 부서입니다. 건물, 주택, 융복합 등 재생에너지 설치 지원부터 사후관리, 설치확인, 금융지원 등을 주로 맡고 있죠.”

윤영상 신재생에너지센터 신재생에너지보급실장은 “올해 약 2280억원의 예산을 운용하고, 최근 3차 추경을 통해 2000억원 가량을 추가로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부터 보급실장을 맡고 있는 윤 실장은 특히 전산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가진 인물이다.

그동안 전산 관련 업무만 25년 이상을 담당했다는 그는 최근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운영하는 신재생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REMS)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운영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REMS를 통해 보급지원을 한 사업을 모두 연결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10여년 만에 내부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서 민원 업무 등 다양한 기능을 개선했죠. 그 덕분에 우리 직원들은 물론이고 고객들의 편의도 상당히 높아졌다고 자부합니다.”

재생에너지 설비는 발전량이나 설비 상태 등 정보를 시시각각 모니터링해야만 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간헐성을 가진 발전원의 특성도 그렇고, 보다 계통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위한 필수요건이라는 것.

이 같은 환경에 발맞춰 신재생에너지보급실은 당초 융복합 사업에만 지원하던 REMS를 최근 건물이나 지역지원까지 지속적으로 확대, 최근 2만7000여 발전소가 연계되게끔 했다. 이를 통해 15분 단위로 사용량 등 실시간 정보를 수집,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빅데이터화를 통해 서비스 체계를 다지고 정책에 반영하게끔 단계적으로 REMS를 개선해나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쌓아두는 게 아니라 이를 분석해서 어디가 사업자들의 가려운 부분인지를 가려내는 게 목표입니다.”

윤 실장은 이번 시스템 개선이 최근 다양한 업무에 따른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데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자체 등과 업무협조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일부 검토 기능은 지자체가 가져갈 수 있도록 하고, 직원들의 민원 부담도 한층 줄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3020 재생에너지 이행계획 등 앞으로 재생에너지 관련한 일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겁니다. 특히 돈을 다루는 우리 부서 직원들의 스트레스가 극심할 거에요. 저는 직원들이 우선 원활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환경을 조성해야만 이 같은 일들도 잘 이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우리 직원들의 역할이 중요하거든요. 막대한 예산이 추경을 통해 이뤄지겠지만 우리 직원들이 단단히 대비하고 있는 것도 이런 환경이 마련됐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