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가동 목표, 첫 교역국 호주 유력
수소 인프라 구축 통해 수소도시 발돋움 가능

울산 신항 배후단지 및 오일허브 사업 현장.[사진=울산항만공사]
울산 신항 배후단지 및 오일허브 사업 현장.[사진=울산항만공사]

정부가 2030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수소 수출입 전용 허브항을 구축한다. 수소물질의 특성상 항구에는 이를 취급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기 때문에 수입을 하는 우리나라는 물론 수출을 하는 나라도 전용 허브항 구축이 필요하다.

첫 교역국으로 호주가 유력한 가운데 벌써부터 수소 허브항 유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뜨거운 경쟁도 펼쳐지고 있다.

지난 2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수소 수출입이 가능한 전용 허브항을 구축할 계획이다. 허브항은 수입이 주 목적이지만 향후 일본과 중국 등에서도 수소 수요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수출도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이 발족한 바 있다. 사업단의 주 목적은 수소를 수입할 적정한 해외국을 선정하고 양국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사업단은 ▲1단계로 해외로부터 그린수소를 수입할 수 있는 후보군에 대해 약 6개월간 타당성 분석을 하고 ▲2단계로 4~5년간 해외 청정수소 생산 공급 실증을 한 후 ▲3단계로 3~4년간 민간의 해외 청정수소 생산 공급에 대한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지난해 초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경제에 필요한 수소는 2022년 47만t, 2030년 195만t, 2040년 526만t으로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산업부는 2030년 수소경제에 필요한 수소 195만t 중 최소 10%에서 최대 50%를 해외에서 수입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수입하는 수소는 탄소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100% 재생에너지로 만든 그린수소로 들여올 예정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첫 교역국으로 호주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호주대사관의 한 관계자는 "한국과 공동으로 수소 수출입 허브항 구축을 추진 중이고, 2030년을 본격 가동 시점으로 보고 있다"며 "이를 위해 호주에서도 수소 수출을 위한 전용항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근 호주의 한 수소 스타트업은 퀸즐랜드에 3.6GW 규모의 태양광 단지를 건설하고 여기에서 연간 20만t의 수소를 생산해 한국과 일본 등에 수출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벌써부터 수소 수출입 허브항을 유치하기 위한 지자체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유력한 지역으로 기반시설, 수도권과 거리, 활용처 등을 감안해 부산, 울산, 평택, 여수 등이 거론되고 있다.

수소 수출입 허브항은 수소물질의 특성상 단순히 항만시설만 필요한게 아니라 액화, 기화, 파이프라인 등 수소를 취급할 수 있는 인프라까지 구축해야 한다. 이를 활용해 수소를 차량 및 발전연료로 사용하는 수소도시까지 구축할 수 있어 지역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에는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 등 정유사를 비롯해 36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당초 빠져 있던 SK이노베이션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