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전자·배터리 등 4개 업종 협회와 공동 논의
투자지원 강화, 환경규제 개선, 탄력적 인력운용 등 필요

코로나19로 인한 IT업종별 현황 및 전망.
코로나19로 인한 IT업종별 현황 및 전망.

대한상공회의소가 반도체·디스플레이·전자정보통신·배터리 등 4개 업종 협회와 공동으로 21일 코로나19 대응 산업계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당장의 피해 최소화뿐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기회를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경기회복세와 비대면(언택트), 콘텐츠 중심의 새로운 산업지형 변화가 예상되고 이에 따른 신기술 채택이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업종 전문가들은 반도체·디스플레이는 코로나19 사태가 빠르게 종식된다면 그동안 억눌렸던 수요가 하반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배터리는 전기차 확산으로 2차전지 수요가 꾸준히 늘고, 가전은 코로나19 이후 건강가전이 필수가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판매량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분야 발제자로 나선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아직 반도체 업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고 미국, 유럽 확산도 2분기 내 완화된다면 향후 반도체 산업에 대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전염병 이후 강한 회복세를 경험한 것처럼 하반기에 IT기기의 억눌린 수요가 폭발할 경우 반도체 경기 회복세는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디스플레이 분야를 발표한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산업은 단기적으로 공급차질, 장기적으로 수요부진이 불가피하다”면서도 “2분기부터 LCD생산이 점차 정상화되고 있으며 세계 코로나19 사태가 조기 종식될 경우 경기회복에 따른 IT기기의 강한 수요반등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배터리·가전분야의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에도 전기차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핵심부품인 2차전지 시장도 전망이 밝다”며 “경쟁관계인 중국기업과 격차를 벌일 수 있도록 핵심소재·장비의 국산화, 차세대 전지기술력 제고 등이 코로나19 대응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또 “가전분야는 코로나19로 건강,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앞으로 건강가전이 필수 가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며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로봇의 상업화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대책회의에서 업계 참석자들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현안애로와 코로나19 이후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선제적 정책대응이라는 2가지 방향에서 주로 논의를 했다.

남기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언택트 시대가 펼쳐지며 반도체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덜한 편”이라며 “반도체 신증설투자 활성화를 통한 조기 경제회복을 위해 각종 규제완화와 과감한 정부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광현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도 “LCD시장에서 중국에 이미 추월당한 상황에서 한국이 기술우위를 가진 OLED 시장의 주도권을 유지해야 한다”며 “신성장 연구개발(R&D)세액공제 대상 확대 등 혁신기술 개발을 과감하게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정순남 한국전지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배터리 시장은 선진국의 환경규제 강화, 친환경차 의무판매제 등으로 향후 높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종식 이후 수요증가에 대비해 기업이 유연하게 인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주 52시간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해외입국 제한으로 좁아진 문을 넓혀 줄 것을 요구했다. 실제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은 해외생산 필수인원이 제때 투입되지 못하고 가전은 코로나로 중단된 제품 시험·인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협회 측은 “중국, 인도, 베트남에 OLED 신제품 생산라인 구축을 위해 대규모 인력파견이 필요하지만 각국의 출입국 제한으로 막혀 있다”며 “기업인의 비자발급, 특별입국 허용을 위한 외교적 협력을 강화해달라”고 했다.

진홍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제품 시험·인증 관련 각국 정부의 업무가 중단되면서 수출제품에 대한 규격 시험·인증 취득이 불가능해 수출에 차질을 빚고 있다”면서 “국가별 시험·인증 업무가 정상화될 때까지 규제대상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을 한시적으로 유예하는 등 국제공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