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단이 120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공고를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 의뢰용량이 500MW 규모였던 것을 생각하면 2배 이상 크게 늘어난 수치다.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의 반응도 나쁘지 않다.

에너지공단은 이번 입찰에서 전체 용량의 50% 이상을 100kW 미만의 소규모 사업자들로 우선 선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동안 소규모 태양광 홀대론을 주장했던 100kW 미만 사업자들이 고정가격계약 시장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끔 문턱을 낮췄다는 얘기다. 최소 600MW 이상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의 몫이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은 이 같은 에너지공단의 계획과 관련해 소규모 사업자들의 잉여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적체 물량이 충분히 해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은 급격한 REC 가격 하락으로 인해 고통받아왔다.

대부분 현물거래 시장에서 활동하는 사업자들은 최근 3년 사이에 급락한 REC 가격 탓에 사업을 유지하는 데 심각한 애로를 겪어왔다. 지난 3월에는 REC 가격이 2만9900원으로 3만원대마저 무너지며 정부의 시급한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졌다.

이와 관련 정부와 함께 3020 재생에너지 이행계획의 목표달성을 지원하는 에너지공단의 고심이 깊었다. RPS 제도를 작게 건드리기만 해도 시장 상황이 크게 바뀌다보니 더욱 손대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 결과 우선적으로 태양광 사업자들의 안정적인 사업환경 마련에 중점을 둔 대책이 이번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 녹아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예측할 수 없는 REC 가격에 영향받는 현물시장 대비 비교적 안정성이 뛰어난 고정가격계약 시장으로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을 유도함으로써 시장안정화를 이뤄내겠다는 뜻이 담겼다는 것.

이번 입찰로 정부와 에너지공단은 태양광 사업자들에게 작지만 큰 메시지를 던졌다. 이 메시지를 두고 사업자와 정부 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보다 건전한 태양광 시장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