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숙 의원
박선숙 의원

박선숙 의원(민생당·비례대표)이 4일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의 방송 통신 재난 대비 대상에 ‘주요 데이터의 보호’를 포함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2018년 11월 KT 아현지사 지하 통신구 화재 사건을 계기로 통신망이 얼마나 안전에 취약한지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전언이다. 5G 초연결 시대에 데이터 센터는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기반이 되며 이러한 시설이 재난으로 파괴되거나 훼손돼 데이터 서비스가 중단될 때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손실은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에 디지털 경제의 핵심 자원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이터 센터도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 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에서 구축 운영 중인 데이터 센터는 158개에 이르며 총매출액은 2018년 기준 약 2조4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향후 국내 데이터 센터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까지 32개의 데이터 센터가 새롭게 구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가운데 SK텔레콤, KT, LG U+, 네이버 등은 서버 10만대 이상의 대규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해외 사업자의 경우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IBM, 에퀴닉스, 구글 등 IT 기업뿐만 아니라 맥쿼리 같은 투자 전문회사도 국내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했거나 구축할 계획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데이터 센터의 재난 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심각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법·제도적 대비책이 부재한 상황이다.

현행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은 과기정통부와 방통위가 수립하는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의 대상 사업자를 ▲기간통신사업자 ▲지상파 방송사업자 ▲종편방송사업자 등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방송 통신 재난 대비에 필요한 사항으로 ▲우회 방송 통신 경로의 확보 ▲방송 통신 설비의 연계 운용을 위한 정보체계의 구성 ▲피해복구 물자의 확보 등을 규정하고 있다.

박 의원의 개정안은 지상파 방송사와 주요 통신사에 집중된 기존의 재난관리 대책을 클라우드 서비스 등 데이터사업자로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개정안은 ‘방송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의 대상이 되는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 일정 규모 이상의 서버·저장장치·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부가통신사업자, 즉 ‘데이터 센터 사업자’를 포함하고 재난 대비 항목에 ‘주요 데이터의 보호’를 추가하도록 했다.

박 의원은 “데이터는 유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실될 수도 있다”며 “우리 사회가 5G 초연결시대로 진입하면서 데이터 유출과 해킹 등 사이버 보안 측면의 안정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주변 환경은 물리적 재난에 다방면으로 노출돼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역시 우리가 지켜야할 물리적 자산”이라며 “데이터의 사이버 안전과 물리적 안전이 동시에 만족되도록 하는 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의원은 지난 2018년 11월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KT 아현지사 지하 통신구 화재사건 긴급현안 보고 회의에서 통신망의 문제는 더 특별히 관리돼야 한다면서 “5G 시대에는 더 엄청난 정보의 양이 통행이 되고 그에 따라서 사고의 범위도 훨씬 더 광범위하고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고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가 진행되며 그중에서도 서비스가 가장 선진적으로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나라가 한국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가 가장 위험하고 광범위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