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장기화, ‘안전운임제’ 여파로 비용 상승 불가피

전력기자재 업계가 원가상승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전력기자재 업계가 원가상승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전력기자재 제조업계가 거센 원가 상승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예상보다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사태와 ‘화물차 안전운임제’ 등 외부 돌발 변수에 마땅한 대응책이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시장 수요가 급격히 위축돼 있는 상황에서 판매 단가를 인상하기는 더욱 버거워 이래저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중국산 원자재 수입이 막힌 제조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국산이나 대만산 등으로 대체하고 있다.

한 변압기 업체 대표는 “변압기 부품 중 일부를 중국에서 수입했는데, 현지 업체가 코로나19 여파로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면서 “언제 재가동될지 본인들도 모른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10~15% 정도 비싼 국산품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전체 변압기의 제조 원가에서 5% 정도 상승요인이 발생하는데, 아직은 판매가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어떻게 대처해나갈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여기에 지난 1월부터 시행된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도 제조업체로서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물류비용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지방 운송은 물론이고 수출입 컨테이너 비용도 현재보다 올라가게 된다. 2개월의 계도기간이 끝난 3월부터 화물차주가 받는 안전 운임을 위반할 경우 건당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한 수출업체 CEO는 “차주에게 더 지급하는 운임을 사실상 제조업체가 부담할 공산이 크다”면서 “수출 컨테이너는 물론이고 국내 물류비도 상승이 불가피하다. 수출 경쟁력은 그만큼 더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안전운임제와 관련해 운송업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에 운송사가 차주를 배정하는 현 물류체계에서 운송사가 배차를 멈출 경우 물류 대란도 초래될 수 있다.

이 같은 원가 상승 요인 탓에 최근 전력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저압차단기 업계는 단가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시장 리딩업체를 중심으로 MCCB, VCB, ACB 등 주요 차단기류 가격을 올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주로 배전반에 들어가는 부품이다.

한 차단기 업체 대표는 “어쩔 수 없이 제품가격을 10% 정도 인상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으나 고객들이 받아들일지 걱정”이라며 “최소한 7% 정도는 인상돼야 원가 상승분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차단기 가격이 올라가면 수배전반 등 완제품 업체가 받는 원가 부담은 그만큼 가중된다.

배전반 업계 한 관계자는 “차단기 가격 인상이 임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부품 가격이 인상돼도 배전반 납품가격을 올리기는 만만치 않다. 자칫 기존 거래처를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물량 가뭄 속에 시장 경쟁이 극심하다”고 하소연했다.

또 “차단기 업체들이 물량(고객) 확보를 위해 인상 전 가격으로 배전반 업체와 일종의 딜을 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건설사의 납기 연장 요구도 많아지는 가운데 원가 상승 압박이 커져 매우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