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나 제조업과 ICT 강국인 강점과 연계하면 성장 가능성 높아

제7회 국제전기차엑스포 조직위원회가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 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14일 서울영동농협에서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제7회 국제전기차엑스포 조직위원회가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 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14일 서울영동농협에서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제7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조직위원회가 한국 전동(EV)·자율주행(AV) 농기계 정책포럼 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14일 서울영동농협에서 정부, 연구기관, 농협 및 농민단체, 관련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차현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동부품소재그룹장은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 국내외 동향’ 주제 발표를 통해 “최근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농촌도 변화하고 있다”며 “석유연료 사용 농기계 대신 전동형 농기계가 주목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농촌에서는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농기계에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농기계 산업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정부 및 관련 기업과 함께 ▲농업용 전동 플랫폼 ▲제주 농업환경에 적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기능 전동 플랫폼 ▲농업용 4륜 조향 가능 전동 플랫폼 ▲가변 아키텍처 다기능 전동 플랫폼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병우 대동공업기술연구소 스마트시스템융합실장은 ‘기업이 바라보는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발전 과제’ 주제 발표를 통해 “농업·농촌은 고령화 및 농업인구 감소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전동화 및 AI와 결합된 자율주행 농기계가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는 이미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한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를 성공하고 있다”며 “존디어, 홀랜드 등 외국 농기계 기업은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인 경우 정부와 관련 기업이 연구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 그 수준이 미약한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화 및 보급촉진, 수출산업 육성을 위해 ▲직진, 선회, 안전성 등 인증제도 법제화 ▲개발 농기계를 다양한 조건에서 시험 및 인증할 수 있는 대규모 시험단지 구축 ▲전기차와 같은 연구개발 및 구매 보조금 제도 신설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주제 발표 이후에는 손찬 한국전력 전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좌장을 맡고 김승희 농업진흥청 첨단농자재육성팀 연구관, 소진환 동양물산 중앙연구소 부소장, 천원기 아시아텍 기술연구소장, 최인용 중국자동차첨단기술산업연맹(TIAA) 한국대표처 회장, 임규원 농협중앙회 경제지주 자재부 단장, 이은만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중앙회장 등이 전문 패널로 참석해 토론을 펼쳤다.

한편 이날 포럼은 ▲CO2 및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기후변화 및 인류건강 증진 기여 ▲전동화 및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산업적 대응 ▲최근 고령화 및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농업·농촌 경쟁력 강화 ▲내연기관 농기계 산업의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 연착륙을 통한 수출 산업화를 이끌어 가고자 마련됐다.

고병기 한국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정책포럼 추진위원장(농협중앙회 상무)은 개회사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동차 등 제조업 및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인 한국은 전동·자율주행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며 “내연기관 농기계 산업을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 대학, 연구기관, 기업, 농민단체간 가교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고문삼 한국농업인단체연합 상임대표는 축사를 통해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화와 보급촉진이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몸살을 앓고 있는 농업·농촌 살리기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전국 16개 농업인 단체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