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가스허브 구축해 시장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 제기
지역 내 이해관계 상충하는 등 고려해야 할 문제 많다는 ‘신중론’도 있어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동북아 가스허브,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동북아 가스허브,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국제 천연가스 수요가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증가하면서도 수요자 우위 시장이 계속되면서 국내에 동북아 가스허브를 구축해 시장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동북아 가스허브,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동북아 가스허브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한국가스공사의 협상력을 활용한 동북아 가스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국내 도입·공급을 넘어 트레이딩 영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손지우 SK증권리서치센터 연구위원은 “석유의 흐름은 중동에서 생산된 원유가 북쪽으로 이동하지만 미국의 셰일가스는 유럽과 동북아시아 등 동·서로 이동한다”며 “앞으로 에너지는 종(縱)이 아닌 횡(橫)으로 이동할 것이고 국내에서 사업을 모색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희준 에너지이노베이션파트너스 대표는 동북아 가스허브 구축을 위해 한국이 가격 지수(Index)를 주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기업이 직접 투자하기 보다는 민간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민간기업이 직접 투자하거나 외국 자본이 들어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가스공사의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세계적인 수준인데 개별요금제를 도입하면서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며 “창조적인 방식으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스공사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김기수 가스공사 도입영업본부장은 “동북아 가스허브의 문제점은 생산자 없이 소비자만 몰려있다는 것”이라며 “그렇다고 생산자인 러시아를 포함하기엔 국제정치학적으로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LNG가 한국에 들어오면 일단 관세문제가 발생한다”며 “이를 어떻게 회피하면서, 혹은 어떻게 최소화하면서 재판매가 가능하도록 해줄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양기욱 산업부 가스산업과장도 “동북아 가스허브가 매력적인 옵션이기에 언젠가는 가야 할 방향이라고 믿고 있다”면서도 “다만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서로 달라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넘어가는 중간다리 역할로 천연가스가 부상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각계각층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