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시장도 변화 불가피, 스마트 LED조명 육성정책에 초점”

“LED 조명이 고효율기자재인증제도로 편입된 지 10여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조명산업과 시장이 겪은 구조적 변화는 여타 품목에 비해 큰 편이에요. LED의 가격하락과 광효율 향상, LED 조명의 저변 확대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제는 고효율 조명 시장도 재도약을 준비할 시기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김성완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기술실장은 “앞으로 조명은 단순히 빛을 밝히는 목적을 넘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인간중심조명 등 다양한 융합신기술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명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LED 조명산업은 수입제품에 대한 의존성이 커지며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가진 IoT 기술을 활용, 조명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의 일환으로 스마트 LED 조명산업에 대한 육성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김 실장은 구체적인 목표와 로드맵에 대해 언급했다.

김 실장은 “장기적으로 2040년까지 스마트 LED 조명을 60%까지 보급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LED 조명에 비해 20% 이상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또 국내 IoT 기술과 융합을 통한 차세대 조명원으로서 안정적 국가 경쟁력을 갖추는 ‘국가 조명산업의 제2 도약기’를 실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 LED 조명산업이 성장한다면,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과 대외 경쟁력 강화 등 국가 경제에 활력소가 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실장은 “미국, 일본, 중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스마트조명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움직임에 발맞춰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국내 조명산업이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효율기술실은 인증기준(안)을 마련, 관련 용어 정립 등 다양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0월 30일 공청회까지 총 3차례에 걸친 설명회를 통해 스마트 LED 조명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 및 형식 기준(안)을 공개하고, 관련 산업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왔다. 이 과정에서 ‘광효율’뿐 아니라 ‘인간중심 가치’도 더하겠다는 판단하에 낮은 파장대의 빛(청색광), 글래어(눈부심) 등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제한적 기준도 마련하고 있다. 네트워크 대기전력도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관련 기준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게 김 실장의 설명이다.

“앞으로 조명시장은 빠른 속도로 변화할 전망입니다. 이미 백열전구는 2014년부터 시장에서 퇴출됐어요. 지난 8월 에너지효율 혁신전략을 통해 형광램프도 2027년부터 시장에서 퇴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LED 조명시장은 보다 확대되고, 가격도 인하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궁극적으로 LED 조명은 일반 조명 원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돼요. 이 과정에서 스마트 LED 조명이 고효율에너지 기자재인증제도의 새로운 조명원으로서 시장에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겠죠.”

그는 업계의 불만인 인증제품에 대한 사후관리 문제에 대해서도 운을 뗐다.

효율기술실은 효율관리기자재 33품목,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 25품목,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21품목 등 총 79품목을 효율관리 대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모델의 수는 약 14만3000개에 이른다.

“관리대상 품목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사후관리 정책은 강화되고 있습니다. 조직 내 인력은 한정돼 제대로 된 제도관리와 운영에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고효율인증 및 대기전력 임의제도 대상품목의 효율관리제도 이관이나 종료 등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끝으로 김 실장은 “관련 전산관리 시스템의 고도화와 함께 자발적 사후관리 제도의 강화, 위반시 처벌 강화 등 업무 개선을 통해 보다 내실 있는 제도운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