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미 기후결의 활동가는 8일 열린 토론회에서 정책결정자들이 현재를 기후위기 상황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올해 3월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을 발족했다. 포럼에는 에너지전환, 산업, 수송, 건물, 청년 등 7개 분과에 전문가, 시민사회 등 7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내년까지 제출할 2050년 국가 저탄소 발전 전략과 관련한 제안을 한다.
박진미 기후결의 활동가는 8일 열린 토론회에서 정책결정자들이 현재를 기후위기 상황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올해 3월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을 발족했다. 포럼에는 에너지전환, 산업, 수송, 건물, 청년 등 7개 분과에 전문가, 시민사회 등 7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내년까지 제출할 2050년 국가 저탄소 발전 전략과 관련한 제안을 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시점으로 정책 결정자들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2050년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민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하루빨리 저탄소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할 때라는 데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이날 특별 발표에 나선 박진미 기후결의 활동가는 “우리의 30년 뒤 미래가 정책 결정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며 “세대를 불문하고 우리 모두가 (기후변화의) 당사자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지 정책 결정자들에게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들이 바라는 저탄소 사회 비전은 지금 당장이 기후위기임을 인정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해야 하는 모든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미 활동가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더딘 인식도 지적했다.

박 활동가는 “지난 9월 23일 유엔에서 만난 국가들은 저탄소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방법을 논의하고 있었다”면서 “(우리와 달리) 이들에겐 이미 1.5°C는 논쟁거리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해 10월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48차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를 최종 승인하고 ‘기후 재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구 기온 상승을 1.5°C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보다 앞선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도 국제사회는 ‘지구 온도 상승을 2°C 아래에 머물게 하고, 1.5°C를 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목표에 합의한 바 있다.

박 활동가는 이어 “향후 수립될 2050년을 위한 LEDS는 30년 동안의 비전으로, 국제 사회에 제출하기 위한 페이퍼에 그치는 게 아니라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환의 기틀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LEDS(long-term low GHG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는 지난해 12월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4)의 결정사항에 따른 것이다. COP24에서는 파리기후협정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세부 규칙을 채택하고 이에 따라 협약 당사국들이 내년까지 2050년의 LEDS를 수립해 제출하도록 했다.

한편 이날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에서 자세한 정책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지난달 열린 유엔 기후 행동 정상회의에서 무려 77개국 정상들이 2050년까지 넷 제로(net zero,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발표했다”면서 “한국 역시 넷 제로를 어떻게 해야 할지, 탈석탄은 어떻게 할지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해 우리 정책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후변화 대응을 단순히 비용, 부담이라고 생각하면 안 되고 새로운 기회와 도전 관점에서 봐야 한다”면서 “정부와 사회가 기후변화에 대해 그간 소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상회의를 다녀오며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것을 절감했고 오늘 같은 논의의 장이 우리 사회가 세계적 흐름에 맞춰 저탄소 사회로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