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장기계약 시장에서 지역 간 연계성이 높고 유연화 된, 상업적인 거래시장으로 변해 갈 가능성이 높아

국제 가스 및 LNG 가격 추세 (2018.1월~2019.4월)
국제 가스 및 LNG 가격 추세 (2018.1월~2019.4월)

국제 LNG 시장에서 초과 공급 상황이 지속되면서 계약 방식이 점차 유연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조용성)이 발간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19-28호에 따르면 미국, 호주 등지의 LNG 공급량 증가로 인해 세계 LNG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중국을 비롯한 신규 수입국들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주요 수입국인 일본, 한국, 대만 등의 수요가 정체하면서 총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공급 초과 현상은 2023년 경에 해소될 전망이다. 신규 수입국의 지속적인 증가, 유럽의 잉여 물량 흡수 등으로 2019∼2022년 사이 세계 LNG 수요는 연간 4% 가량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반면 에경연에서는 최근의 신규 LNG 프로젝트의 최종투자결정 증가로 2025년 이후에는 공급과잉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초과 공급 상황에서 LNG 현물의 시장 가격이 하락하며 유가와 연동한 기간계약 가격과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고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전통적으로 장기계약에 적용해 오던 유가연동 가격을 LNG 시장 가격으로 대체하도록 유인하고 있다.

최근 도착지 제한 완화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사업자와 거래사업자의 등장으로 단기거래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국제 LNG 총 거래량에서 단기거래의 비중은 약 32%에 달한다.

2009∼2012년 중 가스시장 자유화가 진행된 유럽에서는 미국의 셰일가스가 현물거래용으로 대량 유입되면서 현물시장의 유동성이 커지고 결국에는 기간계약 가격이 현물시장 가격에 연동되는 방식으로 계약 방식이 변화했다.

아시아의 가스시장은 자유화의 정도가 서유럽에 비해 덜하지만 국제 LNG 수급 상황의 변화로 원유와 가스 가격간의 비동조성이 지속될 경우에는 시장가격에 근거한 계약 방식의 비중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장기계약에서 유가연동 가격 결정 방식을 대체할 대안으로 ▲미국 가스허브(헨리허브) 혹은 유럽 가스허브(NBP, TTF)에 연동하는 방식 ▲석탄과 같은 대체상품 가격에 연동하는 방식 ▲LNG 현물가격 지표(JKM 등)에 연동하는 방식 등이 고려되고 있다.

에경연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제 LNG 시장은 한층 유연한 시장으로 변모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불확실한 시장 상황을 반영한 계약기간의 단기화, 구매량의 소량화, 단기거래량의 증가, 시장자유화에 따른 계약 유연성 요구 증대 등으로 국제 LNG 시장은 점차 전통적인 장기계약 시장에서 지역 간 연계성이 높고 유연화 된 상업적인 거래시장으로 변해 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유연화 된 시장은 LNG 시장가격의 불안정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시장가격에 연동하는 장기 계약이 일반화될 경우에는 가격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