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원전해체 민관협의회 개최
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 기자재 수출사례 소개·정부지원 의지 강조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이 지난 24일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는 원전해체 산업 육성 전략 후속조치 현황 및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이 지난 24일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는 원전해체 산업 육성 전략 후속조치 현황 및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가 원전 후행주기인 원전해체와 폐기물 관리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산업부는 24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의 기자재 해외진출 사례 소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

이번 협의회에는 정부, 산학연 기관장,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부 측은 “우리나라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기반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12월 IAE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 453기 중 30년 이상이 된 원전의 비중이 68%에 이르러 노후 원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12기(고리 1·2·3·4호기, 월성 1·2·3·4호기, 한빛 1·2호기, 한울 1·2호기)에 이르게 돼 후행주기 산업역량 육성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산업부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 국내기업의 기자재 수출과 같은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기존의 선행주기 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 역량과 성공 가능성을 확인, 원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세아베스틸’과 ‘두산중공업(두산밥콕)’의 사례를 소개하며 산업부 측은 “해체·폐기물 관리 등에서 사업수행 실적(Track-Record)이 부족하고 아직 국내 후행주기 산업이 본격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기술과 역량이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가진다”며 “향후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될 원전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또 4월 발표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의 후속조치 점검과 원전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개발 자금 지원, 원전해체 대비 조기발주 등 정부지원 계획 등에 대해서도 점검·확인했다.

산업부 측은 “정부와 한수원 등 관련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가 2022년 이후로 예정돼 있어 원전해체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외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산업 생태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 자금 지원,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원전 중소기업 연구개발 자금지원을 강화하고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1개 단위사업을 6개로 분리하는 등 원전해체 단위사업을 세분화해 2022년까지 총 1640억 원 조기발주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