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2017년 8월을 시작으로 지난달 4일까지 총 22건의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2018년 5월부터 집중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2. 정부는 잇따른 화재 발생에 지난해 12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 위원회(조사위)’를 설치했습니다. 약 5개월에 걸쳐 화재원인을 밝히기 위해 각종 회의와 실증시험을 진행했습니다.

3. 정부는 지난 6월 11일 세종시에 위치한 산업부 기자실에서 조사위의 화재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4.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는 ESS 화재 원인을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으로 결론지었습니다.

5. 또 조사 결과에 근거해 ESS 안전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KS, KC, 단체표준 제정을 통해 제품 및 시스템 차원의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하고 ▲옥내설치 요건 강화, 전기적 보호장치 의무화등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6. 또 ▲관리제도 개편을 통해 법정검사 강화, 임의 개보수시 제재조항을 신설하고 ▲특정소방대상물을 지정하고 화재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등 소방 기준도 마련키로 했습니다.

7. 정부의 이같은 발표에 업계는 우려와 기대감을 동시에 나타냈습니다. 배터리社 들의 책임 소재가 빠진 데 대한 실망감과 안전기준 강화로 인한 비용 상승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8. 하지만 ESS 산업의 불안전성 해소와 REC 가중치 연장을 통한 사업성 확보로, ESS 산업이 다시 반등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 또한 내비쳤습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