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기평 ‘원전-방사선 산업연계 육성방안’ 정부 제출…‘에너지 대전환’ 방안 가능성 타진
신창현 의원 “탈원전 우려, 방사선으로 극복…산업 생태계 구축 필요”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으로 인해 축소하는 원자력 발전의 대안으로 비발전 분야인 방사선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그러면서도 방사선 기술 상용화는 아직 부진한 단계로, 해당 산업 생태계가 조속히 형성돼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원장 임춘택)은 최근 ‘원전-방사선 산업연계 육성방안’ 보고서를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위원장 정해구)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발전 분야에 뒀던 원자력 산업 비중을 비발전 분야의 주요 산업인 방사선 산업에 두자는 전략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신창현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의왕시과천시)에 따르면 방사선 산업에 그간 축적된 역량을 투자하면 원자력 발전·비발전 분야를 통틀어 전체 원자력 산업의 규모가 두 배 이상 성장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정부가 앞으로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노후 원전의 수명도 연장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원전 분야의 기술인력과 R&D(연구개발) 자원을 방사선 산업으로 전환해 산업 생태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의미”라며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의 에너지전환 TF는 이 같은 내용을 ‘에너지 대전환’ 실천 방안에 담기 위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방사선 산업은 의료, 농업, 생명공학, 환경, 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면서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국내경제 규모는 2009년 9조6000억원에서 2016년 기준 17조1000억원으로 GDP(국내총생산) 대비 1.1%까지 성장했으며 연평균 3.8%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신 의원은 방사선 산업의 보완점도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국내 방사선 산업은 아직 기술 상용화가 미흡해 관련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업의 대응 역량도 부족한 실정이다.

해당 산업 종사자는 2013년 9만3574명에서 2020년 12만9880명까지 확대될 전망이지만 2017년부터 수요대비 공급은 30% 부족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전체 원자력 R&D 예산 1조8529억원 중 10.6%에 불과한 방사선 기술 R&D 예산을 크게 늘려 원전기술과 방사선 기술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기술평가원도 “방사선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필립스, 지멘스 등이 독과점하고 있는 의료용 방사선 진단기기 세계시장에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방사선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원전산업 종사자 피폭량 관리 및 라돈 침대 등 생활 주변 방사선에 대한 안전관리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 의원은 “원전과 비교해 소외돼왔던 방사선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며 “탈원전을 우려하는 원자력 설비산업과 기술인력의 출구전략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