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은 논평을 내고 “오거돈 부산시장은 군사독재 시절 지어져 ‘남쪽의 청와대’라 불려온 특권의 상징인 현 부산시 관사에 기존 입장을 뒤집고 거주하면서 세금을 낭비하고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부산경실련에 따르면 오 시장은 관사 입주한 뒤 턴테이블 및 튜너 179만원, 엠프 및 스피커 867만9천원 등을 구입했다. 이에 대해 부산경실련 관계자는 "부산시는 오거돈 시장의 관사 예산이 과거보다 적다고 주장하나 턴테이블, 65인치 텔레비전, 공기청정기 등을 꼭 새로 구입하는 것이 필요했는지를 되물어 봐야 할 것"이라며 부산시립미술관에 있는 작품 10점을 부산시장 관사로 대여시키고 주말에는 관사를 둘러싼 공원까지 입장을 막으면서 시민들이 누려야 할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부산시는 관사를 외교용도로 활용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지난해 9월 재부 외국공관장 초청 간담회를 제외하고는 지난 7개월 동안 외교 공간으로 활용된 실적이 전무하다”고 말했다.

부산경실련은 "지난해 12월 7일 행안부가 고시한 '지방자치단체 공유재산 운영기준'에 따르면 건물유형(주택, 아파트 등)과 준공연도, 규모(대지 및 건물면적 등), 보유형태(소유, 임대) 및 재산(임대)가격, 관리·운영비(연간), 활용현황(주거공간, 회의실, 주민개방 등) 등을 공개하도록 했지만, 부산시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소유하고 있거나 임차한 주택 현황' 자료에는 관사 관리·운영비와 활용현황 등은 공개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부산시가 공유재산 운영기준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부산경실련은 부산시의 관사 운영에 따른 관리 운영비와 활용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부산경실련은 "행안부는 2010년 '자치단체장 관사 운영 개선방안'을 통해 관사 운영에 따른 예산낭비 등을 이유로 관사 폐지를 권고했다"면서 "오 시장은 관사가 부산시에 꼭 필요한 지 생각해 보길 바라며,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부산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청원경찰을 두고 단독주택 형태로 운영하는 곳은 서울, 부산, 강원, 전북, 전남, 경남으로 광역자치단체 2/3 이상이 관사를 매각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관사가 ‘권위주의 시대 유물’이라는 시민들의 인식과 혈세낭비라는 지점에 맥이 있다. 실제로 인천과 대전 등 8개 광역자치단체는 관사를 폐지하여 역사자료관(인천), 어린이집(대전·충남), 게스트하우스(경기)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구, 충북, 경북의 광역단체장은 아파트를 매입하거나 임대해 광역자치단체장의 생활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