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력과 원자력, 풍력발전소를 연달아 방문했다. 각 발전소에서 만난 관계자들은 각자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맡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화력발전소 관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더 높은 효율을 낼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으며, 원자력발전소 관계자들은 ‘만에 하나’를 가정한 안전장치를 이중·삼중으로 걸어놓고 상황별 행동요령을 숙지했다.

풍력발전소 관계자들도 아직은 부족한 국내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능력을 십분 발휘하고 있는 일선 관계자들과는 달리 정치권에서는 ‘탈원전’, ‘에너지 전환’ 등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지칭하는 용어조차 통일하지 못하고 있다.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에너지원 비중이 높고 낮음을 논하기보다 에너지원의 옳고 그름을 논했고, 결국 흑백논리에 빠졌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원자력발전 대 신·재생발전’ 구도가 만들어졌다.

현대 인류는 에너지 없이 살 수 없으며, 에너지원을 한 가지로 통일하는 것은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좋든 싫든 여러 에너지원을 적절히 배합해 에너지 믹스를 결정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효율이 높지 않고, 원자력은 안전하지 않으며, 화력은 환경에 좋지 않다는 프레임으로 서로를 헐뜯는 것이 무의미한 이유다.

각 에너지원은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를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는 것이 에너지 믹스의 핵심이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은 한 번이라도 실패하면 국가적으로 타격이 큰 작전이다.

국가의 백년대계를 논하는 에너지 정책이야말로 협치가 절실한 분야가 아닐까.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