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호 서울햇빛발전소’성공 이후
부산, 경기도 등 타 지자체들 문의
서울에너지公, 2호 펀드조성 계획

시민펀드로 건설하는 태양광 발전소는 시민 모두의 재생에너지원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의 두 번째 태양광 시민펀드를 서울대공원에 조성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했다.
시민펀드로 건설하는 태양광 발전소는 시민 모두의 재생에너지원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의 두 번째 태양광 시민펀드를 서울대공원에 조성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했다.

최근 시민펀드형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일한 사업자가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이에 대한 수익을 가져가는 것과 달리 다수의 시민들이 발전소의 ‘공동’ 주인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 모델이 된 것이다.

정부 역시 지난해 말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내놓으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에서 시민펀드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2015년 서울시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민 공모펀드로 제1호 서울햇빛발전소(4.25MW)를 건설하면서 타 지자체에서도 이 같은 방식의 시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에 관심이 쏠렸다.

이에 대해 김수정 서울시 환경정책과 전문관은 “서울시가 시민펀드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건설하고 수익을 내면서 사업에 대한 노하우를 물어보는 지자체들이 다수 생겼다”며 “(서울시가) 지자체로서 재생에너지 보급과 시민참여를 독려하는 첫 스타트를 끊었다는 점이 보람되다”고 말했다.

2015년 시는 처음으로 시민 공모펀드로 ‘제1호 서울햇빛발전소’(4.25MW)를 건설했다. 1044명이 모은 82억 5000만원으로 발전소를 짓고 여기서 나오는 전력판매 수익을 공유했다.

올해 7월엔 시민펀드 가입 기간이 만료됐고 원금은 전액 상환됐다. 시는 3년 간 시민들에게 분배한 이자가 약 9억 8000만원이라고 밝혔다. 해당 발전소 매출액의 27%에 달하는 금액이다.

부산광역시, 경기도, 전남도 등 다수 지자체들 역시 태양광 발전설비 건설과 시민 참여를 어떻게 연계할지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성공 사례를 발판으로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의 두 번째 태양광 시민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했다.

목표 부지는 과천 서울대공원 주차장이다.

공사는 태양광 설비를 주차장 내 설치하고 전력 생산과 햇빛 그늘막으로 동시에 사용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화단 같은 조경 시설에는 침범이 없도록 하더라도 10MW가량의 발전소를 설치할 수 있어 매년 13GWh에 달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전문관은 “이미 대다수의 서울 내 공공기관 옥상에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한 상태로, 이제 도심에서 태양광을 할 수 있는 공공부지는 공용 주차장, 나대지 같은 곳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는 베란다 미니태양광 등 집집마다 태양광을 설치하는 사업을 진행해왔다”며 “일각에서는 태양광 패널에 들어간 납 등의 성분이 인체에 유해하다고 이야기 하지만, 이 설비가 건강에 영향을 끼칠 정도라면 어떻게 집집마다 (태양광 설비) 설치를 권장해왔겠냐”고 반문했다.

건국대학교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소가 주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조량부터 대기 온도·습도, 주변 동물의 상태 등이 일반 지역과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서울대공원 주차장 태양광 발전소와 같이 시민참여형 발전소 건설을 위해선 태양광과 관련한 오해를 불식하고 시민 모두가 발전소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설득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창수 안산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은 “과천에서 일부 주민들의 반대는 결국 태양광에 대한 오해가 풀리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할 때 해결될 것”이라며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는 재생에너지 사업은 지역 주민들이 발전소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잘 설득하고 대화로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