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난방 방식, 수십 년 석탄 불가피”…南 기술력 필수

대한석탄공사와 강원대학교가 남북경협대비 민생에너지 분야 남북교류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대한석탄공사와 강원대학교가 남북경협대비 민생에너지 분야 남북교류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대한석탄공사(사장 유정배)가 4일 강원대학교 김헌영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남북경협대비 민생에너지 분야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제재 완화를 통해 남북경협이 이뤄지더라도 북한은 가스 및 석유 난방은 인프라 건설 및 외화지출 부담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전언이다. 이에 남한이 과거 경험한 에너지 소비 패턴을 따를 것으로 보여, 북한의 경제 규모가 적정궤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향후 수십 년 동안은 연탄으로 난방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에너지 연료가 부족한 북한은 땔감용 나무 벌채 및 임야 개간 등으로 인해 지난 1990년 국토면적의 68%이던 산림이 2010년에는 47%로 줄었다. 이는 254만ha로 서울시 면적의 42배에 이르는 산림면적이 사라졌으며, 임목축적량도 남한(154㎥/ha)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산림 황폐화가 심한 상태로 파악된다.

강원대 측은 “북한의 산림녹화에도 관심이 있다”면서 “산림녹화를 위해서는 조림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연탄 보급을 통해 난방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근원적인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남한도 과거 연탄 보급을 통해 땔감용 벌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바 있다. 난방문화 개선을 통해 남한 산림의 임목축적량은 1970년 10㎥/ha에서 2018년 154㎥/ha로 15배 늘었다.

석탄은 다른 광물 대비 북한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하자원으로, 채탄 장비 부족 및 인프라 부족으로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있어 남북경협이 재개될 경우 석탄공사의 기술력과 남한의 각종 채탄 장비를 이용해 북한 탄광을 현대화해서 생산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전언이다.

강원대와 석탄공사는 강원도 소재 기관으로서 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이 가능하게 되면 북한의 민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힘쓰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산학협력을 맺어 공동 연구를 펼치고, 포럼 및 세미나를 통해 관련 기관 및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유정배 사장은 “석탄공사는 석탄을 생산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수십 년 동안 전국적으로 63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녹화사업도 진행한 바 있어 서민 연료의 안정적 공급뿐 아니라 우리나라 산림녹화에도 기여했다”며 “북한이 당면한 주요 문제인 서민 연료 보급 및 산림 황폐화 방지 분야에서 석탄공사와 강원대가 서로의 경험과 지식 역량을 접목할 경우 남북교류 협력에서 좋은 산학협력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