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확대 따른 국내 산업육성 방안 다각적 모색
신(新)에너지 뺀 태양광·풍력 산업 육성 가능성 존재

산업통상자원부가 기존 신재생에너지보급과를 폐지하고, 재생에너지산업과를 신설하는 내용의 ‘신재생에너지정책단 조직개편(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생에너지 연구 ·개발(R&D)기능 강화를 위해 정책단에 에너지자원정책관 산하 에너지기술과를 옮기는 방안도 여전히 논의 중으로 전해진다.

이번 개편(안)에 대해 업계 안팎에선 현 정부를 포함해 여러 정부가 오랫동안 국내시장 확대만 강조하는 단순한 보급정책을 계획·운용했다면, 이 같은 시장확대를 국내 산업육성으로 어떻게 연계할지 현시점에서 정부가 복합적인 정책구상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는 것으로 점치고 있다.

실제 태양광, 풍력발전, 연료전지 등 신재생 전 분야에 걸쳐 국산 기자재 제조업체는 이제 소수에 불과하다. 태양광 시장은 중국산 저가 모듈이, 풍력발전시장은 대용량 풍력터빈을 보유한 지멘스·베스타스 등 해외업체가, 연료전지 시장은 국내 대표 업체의 사업철수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해외기업이 약진하는 등 국내 제조업계가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는 실정이다.

그동안 이명박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박근혜 정부의 ‘에너지신산업’, 문재인 정부의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시책을 펼쳐왔지만, 현재 국내 업체들은 해외업체와 힘든 경쟁으로 우리 시장에서조차 설 곳이 별로 없는 상황이다.

최소한 국내 기업들이 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골든타임(Golden Time)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정부 역시 공감대를 갖고 관련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지혜를 모으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개편(안) 역시 이 같은 배경에서 논의가 시작됐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한편 이번 개편안에 대해 ‘신(新)에너지’를 명칭에 제외한 ‘재생에너지산업과’를 신설할 여지가 크다는 뒷말도 나온다. 애초 성윤모 산업부 장관 지적에 따라 ‘태양광·풍력 중심의 10대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전략’을 세우는 만큼 방향성 역시 일치한다는 해석이 뒤따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