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연용 아이폰·워어러블·아이패드 구매비용 대리점에 전가

사단법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가 애플의 아이폰 공급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하고 나섰다. 사진은 출시일인 지난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예약구매자들이 신형 아이폰을 살펴보는 모습.
사단법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가 애플의 아이폰 공급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하고 나섰다. 사진은 출시일인 지난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예약구매자들이 신형 아이폰을 살펴보는 모습.

사단법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회장 조충현,KMDA)가 애플의 갑질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섰다. 시연폰(데모폰)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통점에 시연폰 강매를 종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KMDA는 21일 애플이 일선 유통망에 시연폰을 공급하면서 중소 유통망에 과한 수준의 부담을 지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연폰이란 제조사가 자사의 신제품 단말기 모델 출시 시점에 제품 홍보를 위해 유통망에 한시적으로 디스플레이 및 고객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단말기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조사는 데모폰을 전량 지원하고, 진열 종료 후 회수한다. 당연히 이 과정에서 유통망에 금전적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애플은 시연폰 100%를 유통망에 강매하고 있어 다른 제조사 대비 유통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게 KMDA의 지적이다.

특히 신규 모델이 출시되는 1년 이후에나 시연폰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제약을 걸어두고 있어 유통망은 정당한 값을 지불하고 구입한 시연폰을 제때 팔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시연 단말기를 배치할 매대(애플존)의 제작비용도 유통망이 부담해야 하며, 애플로부터 시연 매대 위치와 포스터 부착 위치까지도 지시받고 있다.

이는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애플의 기타 웨어러블, 패드 제품들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부분이다.

대리점이 시연폰 강매를 당하는 이유는 애플이 시연폰을 전시하지 않으면 단말기를 개통권한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KMDA는 "애플의 갑질은 애플이 국내 시장에 첫 등장한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관례화 된 대표적 유통적폐"라며 "유통망이 수년간 데모폰을 강매당하면서 누적된 피해액은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KMDA는 애플의 갑질로 인한 피해를 해결하고자 정확한 실태와 피해규모 추산을 위해 정보를 수집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3사 대리점협의회와 공동대응해 공정거래위원회 제소 등 법률적 검토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