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산업협회, 일부 언론보도 주장 반박

태양광발전을 단순히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림조성과 함께 태양광 발전을 해결책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2일 태양광산업협회는 입장문을 내고 최근 태양광발전시설이 임야에 들어서는 것이 억제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언론들의 보도와 전문가들의 주장을 반박했다.

협회는 임야에 들어선 일부 태양광 발전소들이 무리한 토목공사로 토사유출과 토양침식의 문제를 일으켰다고 인정하면서도 "이는 수만 개의 태양광발전소 가운데 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때문에 무조건 임야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을 막기보다는 관련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나 시공 기준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른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또 협회는 30년 이상 된 수령으로 이뤄진 숲을 태양광발전으로 대체하면 산림조성과 태양광발전 조성이 공존하며 환경 보호에 함께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회 관계자는 “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1ha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량이 606kW(16.5m2에 1kW설치)라 할 때 매년 304tCO2/년의 탄소저감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이는 “같은 면적에 태양광발전을 설치하는 것이 임야를 조성하는 것보다 30배가량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이 2012년 11월에 발간한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 보고서에 따르면 1ha당 30령 소나무를 심었을 때의 탄소 저감효과는 10.8tCO2/년이다.

협회는 나무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수령 30년일 때 최고점을 찍고 감소하는 점 역시 지적했다. 현재 국내에서 계획적으로 조림된 나무들의 수령이 대체로 30년을 넘어서면서 탄소 흡수 능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유실수 등 경제림보다는 아카시아 나무와 같은 잡목이 많은 사실을 감안할 때 임야 태양광을 마냥 해롭다고 지탄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협회 관계자는 “산림이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의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태양광 발전이 나무를 심는 것보다 더 높은 탄소저감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단순히 설치면적을 가지고 마치 태양광 발전을 산림파괴의 주범인 양 호도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