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공사 “마그네사이트, 철, 연·아연, 석회석, 무연탄 집중” 주문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윤병로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 회장, 박정·홍익표·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치범 동북아평화경제협력재단 이사장, 남윤환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직무대행(앞줄 왼쪽부터)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윤병로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 회장, 박정·홍익표·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치범 동북아평화경제협력재단 이사장, 남윤환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직무대행(앞줄 왼쪽부터)

미래 북한 광물자원을 개발하게 되면 마그네사이트, 철, 연·아연, 석회석, 무연탄 등 5개 광종(鑛種)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인우 한국광물자원공사 남북자원개발사업단장은 광물자원공사가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 ㈔동북아평화경제협회 등과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남북 광물자원 협력방안 토론회’에서 남북 광물자원개발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 단장은 이들 5개 광종(마그네사이트, 철, 연·아연, 석회석, 무연탄)의 필요성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 “국내 수요가 연간 100억 원 이상이며 북한 매장량이 풍부한 17개 광종에서 상생 협력 가능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해 이 5개 광종을 5대 핵심협력광종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5대 핵심협력광종을 중심으로 북한 탄전(무연탄), 서해철광(철광), 고생대 석회석 벨트(석회석), 단천자원산업단지(마그네사이트 및 연·아연)에 특구형 자원산업단지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 단장은 남북공동 자원협력분과위원회를 설립해 구체적인 ▲협력방안 ▲특구 내 세금 감면 ▲개발·운영권 제공 ▲투자보장 제도 등 협력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특구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남과 북이 공동으로 충분한 사전조사와 사업성 평가, 연구개발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 진출 활성화를 위한 자금 조달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창도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북한에 저품위 철광석이 풍부하고, 북한 전역에 제철소가 있지만 원료 부족, 전력난, 설비 노후화 등으로 설비 가동률이 30% 미만에 불과하다”며 “원료 확보, 설비개선, 선진 철강기술 확보가 과제”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북한 철광석 개발을 북미관계와 남북경협 상황에 연동해 추진하되 대북 제재 해소 등 전제조건이 해소될 때에 대비해 남북 철강전문가 교류와 현장 실사 등 사전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병로 원진월드와이드 사장은 마그네사이트 개발에 주목했다. 마그넷이트는 고온에 견디는 물질인 내화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자원이다.

윤 사장은 미국지질조사국(USGS) 자료를 근거로 “북한의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이 15억t으로 세계 2위”라며 “북한 단천이 세계 최고의 마그네사이트 생산기지가 될 기초 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