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기준 강화 등 재발 방지위한 대책 마련 절실
막연한 불안감 가중되면 관련 산업 위축 불가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폭발사고가 관련 산업 활성화를 가로막는 대형 악재로 작용할 조짐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전과 관련된 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정비하고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인식 변화를 꾀하는 등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ESS 폭발사고는 지난해 8월 고창 한전 전력시험센터에서 처음으로 발생했고 올 들어서는 최근 석 달 사이 무려 6건이 추가돼 그 빈도가 매우 잦아졌다. 특히 명확한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고 있어 불안감만 증폭되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7월 28일 세종 소재 제지공장에서 발생한 ESS사고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양상이어서 파장이 더욱 큰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사고는 배터리 충전량이 96~98% 수준으로 ESS를 가동하던 중에 일어났다. 그러나 세종 제지공장의 경우는 본격적인 가동이 이뤄지기 전이어서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조치원소방서 측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세종 제지공장 ESS사고는 랙(Rack)을 체계화하던 중에 발생했기 때문에 본격적인 가동은 이뤄지지 않았고 배터리 2390개가 전소돼 피해액은 약 3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관련업계는 이번 사고가 ESS 설치를 검토 중인 산업체 등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또 건물 내에 설치된 ESS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가까운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앞선 2010년부터 ESS 보급이 늘어났는데 2015년부터 잇달아 발생한 폭발사고로 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ESS산업은 올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ESS 보급규모는 1.8GWh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배가 증가했다. 이는 지난 6년간 총 보급량 1.1GWh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 같은 성과는 신재생에너지연계용 ESS에 대해 REC 가중치를 부여한 것이 주효했다. 신재생에너지연계용 ESS에 대한 인센티브제도가 2020년까지 유효하기 때문에 이 기간 중에 폭발적인 보급이 예상된다.

화재감식 전문가는 “ESS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국제적 수준의 법·제도적 개선과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감식시스템 마련 등이 다각도로 모색돼야 한다”며 “화재 사고가 지속될 경우 관련 산업을 위축시킬 수밖에 없다. 정부와 산업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