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라돈침대 사건 등 생활방사선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원자력의학원은 생활방사선 연구와 진료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13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열린 신임 의학원장 기자간담회에서 김미숙 원장<사진>은 “그간 방사선 재난 대응에서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고, 원자력안전위원회와도 협력해왔다”며 “하지만 생활방사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만큼 원자력병원의 특성을 살려 생활방사선 연구와 진료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의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 따라 방사선 사고와 재난에 대한 의료대응을 담당하고 있다. 또 방사선 재난 발생 시 원자력병원은 재난대응병원으로 기능한다. 이에 원자력의학원은 관련 기능을 확대해 병원의 생활방사선 연구와 진료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먼저 김 원장은 ▲저선량 생활방사선의 인체영향 연구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UNSCEAR) 등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와의 공조 확대 ▲방사선피폭영향검사 기술 연구 ▲표준화된 진료시스템의 개발 및 전파 ▲고위험군 대상 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우주방사선 인체영향 연구 및 검진기술 개발 ▲생활방사선 관련 대국민 교육 및 이해증진 프로그램 개발 ▲천연방사성물질(NORM) 컨소시엄 지원 등을 추진전략으로 내놓았다.

생활방사선 연구와 진료에 관해 원자력병원의 기능도 강화된다.

김 원장은 “지난달 26일 생활건강증진부를 신설해 방사선영향진료팀과 종합암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며 “기존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의 방사선영향클리닉을 확대 이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이외에도 ▲국가방사성의약품센터 구축 및 성과 창출 계획 ▲과학기술특성화병원육성 등 중점 추진사항을 제시했다.

의학원은 50MeV, 30MeV, 16.5MeV 사이클로트론 등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개념치료기술개발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원장은 “신개념치료기술개발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약개발 및 방사성의약품 개발 인프라가 확충됐다”며 “기존 연구팀, 방사성의약품생산사업센터 등과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어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성의약품 개발에서 임상시험 진입까지 전주기 연구개발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보급과 연구, 활용을 증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의학원은 원자력병원을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특성화병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비임상·임상시험 연계 지원 ▲인체자원은행 강화를 통한 맞춤형 혈액자원 분양 ▲인체자원에 임상정보 결합 제공 ▲식약처 허가·승인절차 지원 ▲바이오 헬스케어 연구 컨설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 원장은 “출연연구소들의 니즈 조사를 바탕으로 방사선의학 분야의 M.D와 연구자들을 연계해 실용화 성과 창출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방사선의학연구소가 기초를, 신개념 치료 기술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단이 비임상을, 원자력병원이 임상을 담당하는 방사선의학 사이클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구소들의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개방형 연구 플랫폼을 제시하는 역할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테스트 베드(Test-Bed)로서 역할을 수행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