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2세대 안내로봇 에어스타 정식 도입

인천공항공사가 시행한 에어스타 시연회에서 참가자가 직접 로봇을 이용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가 시행한 에어스타 시연회에서 참가자가 직접 로봇을 이용하고 있다.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었던 사람과 로봇이 대화하고, 로봇이 사람을 안내하는 모습을 인천공항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1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정일영)는 인천국제공항 2세대 안내로봇 ‘에어스타’ 도입에 앞서 제1여객터미널 3층 출국장에서 로봇의 다양한 기능을 선보이는 시연회를 개최했다.

에어스타는 자율주행, 음성인식 기능과 인공지능 등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가 접목된 안내로봇으로, 인천공항공사가 지난해 시범적으로 도입했던 1세대 지능형 로봇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부터 내장센서까지 모두 새롭게 개발한 2세대 로봇이다.

지난 6월부터 인천공항 터미널 내에서 시범운영 중인 에어스타는 오는 21일 하계 성수기 시작에 맞춰 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에 도입되는 2세대 안내로봇은 지난해 하반기 인천공항에 시범적으로 운영됐던 1세대 로봇과 비교할 때 기술적으로 크게 향상됐다.

디자인부터 내장센서 등을 인천공항의 특수성에 맞게 전면 재개발해 자율주행과 음성인식기술이 크게 향상됐으며, 상호작용 기능도 사람과 로봇 간 직접 소통과 감정표현이 가능한 수준까지 이르렀다는 게 인천공항공사 측의 설명이다.

자율주행기술이 크게 향상돼 사람과 카트 등 움직이는 물체가 많은 터미널 내에서도 스스로 이동하며 정확하게 길을 찾고 “조심하세요”라고 말하며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보행자와 장애물의 움직임을 학습해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반의 3차원 카메라센서, 중장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인식하는 고정밀 라이더센서, 단거리 물체를 인식하는 초음파센서 등이 추가로 탑재돼 주행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다.

이와 함께 음성인식기술도 1세대 로봇에 비해 크게 향상되고 사람과의 상호작용 기능도 대폭 강화됐다.

다양한 소음이 발생하는 공항 터미널에 특화된 음성처리 기술을 활용해 음성 인식률을 높였으며, 한·영·중·일 4개 국어 음성인식을 지원해 더욱 다양한 국적의 여행객들에게 편리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로봇 운영현황 관제 및 임무명령을 위한 로봇관제시스템도 이번에 추가로 도입돼 더욱 안전한 로봇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해졌다.

이번 2세대 안내로봇은 중소기업인 푸른기술과 대기업인 LG CNS 컨소시엄이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해 9월부터 제작했다.

푸른기술은 로봇의 하드웨어를 제작하고 LG CNS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등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협력으로 완성된 이번 사업은 앞으로 국내의 로봇, 자율주행, 음성인식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가 혁신성장 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출국장, 면세지역, 입국장의 수하물수취지역 등 여객들을 위한 안내가 많이 필요한 곳 위주로 제1, 2여객터미널에 각각 8대, 6대 투입될 계획이라는 게 인천공항공사 측의 설명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세계 최초의 상용화된 공항 안내 로봇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다른 공항에서 안내로봇이 시범적으로 운영된 적은 있지만, 정식으로 운영되는 로봇은 에어스타가 처음이다.

에어스타가 정식으로 운영을 시작하면 여객들은 공항 곳곳을 돌아다니는 에어스타에게 말을 걸거나 터치스크린 조작, 바코드 인식 등을 통해 공항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출국 시 에어스타에게 항공편을 말하면 올바른 체크인 카운터의 위치를 즉시 알려주고, 원하는 경우 직접 앞장서서 목적지까지 에스코트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안내로봇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스마트 안내서비스를 제공해 여객 분들이 더 빠르고, 편리하고, 즐겁게 공항을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공항 운영분야에 로봇을 활용하고 드론,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자율주행셔틀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해 미래를 앞당기는 첨단 스마트공항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