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영 전기연구원 본부장, “신재생·원자력·가스발전은 현실적 한계”

10일 환경재단과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공동 주최로 대한상의에서 열린 ‘신남북 시대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 협력방안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주제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10일 환경재단과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공동 주최로 대한상의에서 열린 ‘신남북 시대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 협력방안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주제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남북 간 경제협력의 일환으로 북한의 전력공급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북한 지역에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윤재영 전기연구원 차세대전력망연구본부장은 10일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와 환경재단 공동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북한의 현재 전력상황은 수력에 편중된 대단히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향후 북한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수력보다는 신규 화력전원 건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기존 북한의 수력전원과 송배전망에 대한 전면적인 개보수와 함께 화력전원을 건설하는 게 가장 유력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 전원은 투자비와 발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북한 전력문제의 해결수단은 될 수 없고, 장기적 관점에서 소규모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가스복합화력도 가스공급망이 전혀 없는 데다 연료비가 높아 기저부하용 대용량 화력을 필요로 하는 북한 입장에서는 부적합한 전원”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대외적으로 강력하게 희망하는 원자력 전원은 북핵문제를 포함한 획기적인 정치적 타협이 없는 한 불가능하고, 정치안보적 현실상 수용하기가 곤란할 것이라는 게 윤 본부장의 설명이다.

또 최근 정부가 단천 등 북측의 인구 밀집 지역 중심의 특구 개발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이 지역의 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수력발전소를 전면적으로 개보수하면서 유연탄발전소를 신규로 몇 기 건설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고 윤 본부장은 주장했다.

윤 본부장은 “단천 지역 자원특구 개발의 가장 큰 장애물은 단연 전력공급 문제”라며 “1000MW 정도의 전력공급이 필요해 단천 인근 지역의 수력발전소에 대한 전면적인 개보수와 더불어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이 병행돼야 하고 기존 송배전망도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본부장에 따르면 단천 자원특구 개발 시 전력공급 대안은 ▲러시아 전력의 청진공급과 단천특구 연장공급 ▲단천 주변 허천강/부전강/장진강 수력발전소 보강 ▲신규 전원개발 및 생산된 전력공급 등이 있다.

윤 본부장은 “러시아의 대북한 전기수출은 재정문제로 사업실행이 어렵다”며 “수력발전소 개보수도 필요하지만, 현재의 북한 전력규모나 단천 인근 지역의 전력사정을 감안하면 한국형 석탄화력 중에서도 가장 단위규모가 적은 200MW 단위기로 건설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재단과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가 공동 주최한 이날 세미나는 남북이 마주하는 환경문제를 진단하고 함께 풀어갈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재연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가 ‘북한의 생태환경 현황과 남북 협력 방향’을 주제로 발제를 했으며, 김경술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에너지 현황과 지속가능한 남북에너지 개발 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