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27 남북정상회담,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전개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무드.

남과 북은 4·27 판문점 선언 이후 군사·체육·적십자회담을 잇달아 개최했고, 교류협력사업을 본격화하면서 평화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 이런 와중에 최근 동서발전이 권칠승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발전 분야 대북 협력사업안’이 공개돼 눈길을 끌었는데요, 그 내용은 ‘경기 연천군 또는 비무장지대(DMZ)에 평화발전소 건설’, ‘북한 경제성장을 위해 해주시와 원산시, 김책시 등에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3. 이번 논란은 “동서발전의 자체 아이디어일뿐”이라고 산업부가 서둘러 해명자료를 발표하면서 헤프닝으로 일단락됐지만 북한의 전력사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죠.

4. 북한의 전력산업은 어떤 상황일까.

북한 경제에서 전력부족은 경제난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의 첫 단추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생전에 김정일 위원장마저 “전력은 산업의 심장”이라고 했을까요.

5. 윤재영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작성한 ‘북한 전력산업 현황 및 독일 통합사례’에 따르면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24만kW(2013년 기준)으로, 남한의 12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또 발전량 역시 221억kWh로 남한의 24분의 1에 수준입니다.

6. 기자재를 생산하는 전기공업 역시 설비 노후화와 기술력 부족으로 열악한 실정입니다. 생산기술이 보편화돼 있는 전선, 애자 등은 (구)소련과 체코 등의 기술 협조로 어느 정도 관련 기술을 확보했지만, 대용량 발전기, 변전기기, 전력전자기기와 자동화 관련기기는 낙후돼 있습니다.

7. 남북한의 교류 협력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북한의 전력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실제로 최근 북한 전력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남북 접경지역에의 가스발전소 건설’ 등여러 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8. 전력망 해결도 시급한 선결과제입니다. 문승일 서울대 교수는 최근 “낙후된 전력망부터 손봐야 한다”고 밝혔고, 원동준 인하대 교수도 부실한 전력망 해결을 위해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을 언급했습니다.

9.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경제특구 개념의 ‘경제개발구’ 설립을 추진하면서 전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런 때에 남한의 전기계가 손을 뻗쳐 북한과 협력한다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남북경협은 전력부터’라는 구호가 현실화될 날을 기다려봅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