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침대 사태 통해 본 생활 속 방사능 실태와 대응방안 토론회

20일 국회에서 열린 ‘라돈침대 사태를 통해 본 생활 속 방사능 실태와 대응방안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생활방사선 안전 관리의 개선방안에 대해 토론을 벌이고 있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라돈침대 사태를 통해 본 생활 속 방사능 실태와 대응방안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생활방사선 안전 관리의 개선방안에 대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우리 생활과 밀접한 침대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생활방사선법상 안전기준을 초과해 검출된 가운데 원자력 안전을 관리·감독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의도적으로 라돈에 의한 건강영향만 평가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라돈은 폐질환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질환 이외의 건강문제를 호소하는 대진침대 사용자들에 대한 피해보상 과정에서 핵심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라돈침대 사태를 통해 본 생활 속 방사능 실태와 대응방안 토론회’에서 김혜정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운영위원장은 “원안위는 그간 제품 속에 함유된 우라늄과 토륨 농도 분석과 제품 표면의 선량평가를 해왔으나, 이번 라돈침대 조사에서는 기존에 평가해오던 농도분석은 제외하고 라돈과 토론 평가만 했다”며 “의도적으로 감마선 등의 선량평가를 제외하고, 라돈에 의한 건강영향만으로 축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진침대에서 사용한 모나자이트에 있는 우라늄과 토륨은 방사성 붕괴과정에서 알파·베타·감마선 등 모든 방사선을 방출한다”며 “태아, 영유아, 어린이, 임산부 여성 등이 방사능에 더욱 취약하다. 이들에 대한 피폭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원자력의학원이 폐질환 관련 상담만 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김 운영위원장은 음이온 제품 대다수가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제품이라고 지적했다.

음이온 방출 원리는 방사선을 방출시키는 모나자이트 등 희토류광석을 원료로 사용하는 ‘천연광석법’과 단전기를 사용해 직접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발생식’, 물리적 마찰을 통해 미세한 음이온 입자를 생성하는 ‘레너드식’ 등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김 운영위원장은 “한국원적외선협회 부설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측정한 제품들의 90%가 천연광석인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또 일반원료와 음이온 원료, 방사선량률 측정결과 음이온과 방사선량률이 비례했다. 음이온 개수가 많을수록 방사능 수치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운영위원장은 ▲모나자이트 등 천연방사성물질의 가공제품 사용금지 및 인허가 중지 ▲천연방사성물질의 사용 및 유통 이력추적 ▲천연방사성물질 사용 가공제품 표시제 도입 ▲조건 없는 대진침대 사용자 건강피해 등록 및 건강역학조사 실시 ▲음이온 제품 사용에 대한 시민 안전가이드라인 제시 ▲국무총리실 산하 ‘라돈침대 사건해결과 생활방사능안전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대책기구’(가칭) 구성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그간 생활방사선 안전 관리가 사전예방보다는 수거 등 후속조치에 치중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입 유통단계의 경우 취급자의 자발적인 등록과 신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원료물질 수입자만 등록의무가 있으며, 가공제품 수입자는 등록의무가 없어 관리의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특히 수거 등 조치단계에서도 제조업자에만 의존하고 있어 이번 라돈침대 수거지연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서곤 원안위 국장은 “수입 승인제도 도입, 가공제품 수입 등에 대한 관리강화를 통해 수입 유통단계의 규제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신속 조치체계를 구축해 수거, 처리, 처분의 신속성과 실효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